[문화 노트] ‘건강한 보수’김일영이 남긴 유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뉴라이트의 핵심 이론가이면서 뉴라이트라는 용어를 쓰기 싫어했던 사람. 한국 현대정치사 해석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면서도 마지막까지 겸손함과 진지함을 잃지 않았던 이. 잘 거절할 줄 모르던 그에겐 일감이 넘쳤다. 인문사회학 분야에선 1년 3∼4편 논문 쓰기도 벅찬 실정에 그는 지난해 12편의 논문을 썼다고 한다. 23일 50세의 한창 나이에 간암으로 타계한 김일영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그는 천상 학자였다. 올해 5월 간암 판정을 받고도 대학원 수업 등을 쉬지 않았고, 자신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자문에 성실히 임했다. 2학기 들어 항암 치료의 고통은 더욱 깊어갔지만 그의 꼿꼿한 목소리는 흐트러지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24일 밤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그와의 우정을 잊지 못하는 지인들이 속속 장례식장을 찾았다. 제단 맨 앞에 놓인 이명박 대통령의 조화가 눈길을 끌었다. 문득 2007년 대선 과정이 떠올랐다. 좌파에 대한 뉴라이트의 ‘담론 투쟁’이 없었다면 역사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뉴라이트가 공세를 쥐고 전개된 담론 투쟁의 정점에는 2006년 나온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책세상)이 놓여 있다. 이 책의 해방 이후 한국 정치사 부분에 대한 편집과 집필 담당자가 그였다. 1950년대 이승만 정권부터 70년대 박정희 정권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일찍이 ‘건국과 부국’이란 말로 정리해낸 학자가 그였기 때문이다. 그의 이론은 해방 이후 역사를 보다 긍정적이고 사실적으로 보는 해석의 원천을 이룬다.

전상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그를 역사학에 밝은 정치학자로 평가했다. 이념보다 사료에 충실했기 때문이다. 전 교수는 “외국 이론을 수입해 연역적으로 대입하는 방식과 김 교수의 연구는 다른 것”이라며 “반백 년을 채 못살았지만 업적을 보면 일백 년 이상을 산 사람”이라고 했다.

우리 사회의 좌편향을 바로잡는 데 기여한 고인은 우편향에 대해서도 관대하지만은 않았다. 수구 보수와는 선을 분명히 그으려고 했다. 뉴라이트가 정치운동화하는 것을 누구보다 경계한 인물도 그였다. 그는 대한민국의 보수세력이 보다 전문적인 이론과 품격을 갖추길 바랬다. 진보 좌파 진영과의 대화와 소통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도 기억돼야 한다. 이날 빈소를 직접 찾은 진보 성향의 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화가 가능했던 보수 측 학자”라고 했다. 그의 꿈은 이제 후학의 몫이 됐다. 

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