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수험생 절반이 제2외국어로 일어 선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2001년도 수능시험에서 다시 도입되는 제2외국어 6개 선택과목 가운데 수험생들은 일본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입시전문기관인 고려학력평가연구소가 학원수강생 1천2백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2외국어 선택 현황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5.7%(5백51명)가 일본어를 선택했다.

특히 일본어 선택자 중 절반은 학교에서 이미 배운 다른 외국어 과목을 바꿔 수능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험생들이 일본어가 다른 외국어와 달리 우리말과 어법이 비슷해 쉽게 익힐 수 있어 고득점을 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그동안 제2외국어의 대명사였던 독일어.프랑스어는 각각 22%와 19.1%의 선택률을 보였으며 중국어.에스파니아어.러시아어의 선호도는 낮게 나타나는 등 심한 과목별 편중현상을 보였다.

한편 대학별로 입시요강이 확정되면 제2외국어 반영 여부 등에 따라 자연계 수험생의 52.5%와 인문계 수험생의 29.1%가 현재 학습 중인 외국어를 다른 외국어로 변戀?수도 있다고 응답해 수능시험 원서접수 과정에서 상당한 혼란이 예상된다.

고려학력평가연구소 김영선 평가실장은 "수험생들이 어느 외국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각 대학들이 외국어를 입시 평가자료로 활용할 때 원점수보다 표준점수를 반영해야 할 것" 이라며 "수험생들도 외국어의 특성상 단기간 공부해 높은 점수를 받기 어려운 만큼 이미 배운 과목으로 수능에 대비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 말했다.

윤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