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장 선임절차 놓고 정부·은행간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송달호(宋達鎬)전 행장의 사의표명으로 공석이 된 국민은행장의 선임절차를 놓고 정부와 은행간에 진통이 일고 있다.

지난 24일 금융감독위원회가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된 행장추천위원회의 추천으로 이사회에서 호선하는 기존의 행장 선임방식과 달리 외부인사들로 경영진인선위원회를 구성, 신임 국민은행장 후보를 물색하겠다는 방침을 전격 발표했기 때문.

금감위는 이같은 방안을 국민은행 측이 먼저 건의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소식을 접한 국민은행 관계자들은 25일 "처음 듣는 이야기" 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국민은행 사외이사들도 "행장 추천은 이사회의 고유 권한인데 정부가 일방적으로 외부인사들을 동원해 은행장 인사에 간여하려는 행태는 이해할 수 없다" 고 말했다.

국민은행 노조도 이날 은행 게시판에 써붙인 대자보를 통해 "금감위의 개입은 항간의 소문대로 김상훈(金商勳)금감원 부원장을 새 행장에 앉히려는 음모" 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김영재(金暎才)금감위 대변인은 "'정부는 대주주이자 감독당국의 입장에서 행장 선임을 둘러싸고 혼선을 빚는 것을 방치할 수 없다" 면서 "'조흥은행 등의 선례에 따라 경영진 인선위원회가 행장 후보의 자질을 검증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 밝혔다.

국민은행 경영진인선위원회는 학계.업계.법조계 전문가 5~7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하지만 금융계에선 ▶외국의 경우 경영진인선위원회 역시 외부인이 아닌 사외이사들로 구성하고▶국민은행(골드먼 삭스 11%, 정부 6.47%의 지분 보유)은 조흥은행과 달리 정부가 1대주주가 아니라는 점 등을 들어 국민은행측 손을 들어주는 사람이 많은 편이다.

신예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