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지역 선거구 통합 희비 엇갈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국회 선거구획정위가 선거구 수를 전남은 17곳서 13곳으로, 전북은 14곳서 10곳으로 각각 4곳씩 줄이기로 재조정하자 지역.계층별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선거구가 통폐합된 지역서도 반기는 곳이 있는가 하면 한편에선 반발이 거세다.

두 개의 선거구가 하나로 합쳐진 전남 여수시에서는 28일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 가 정치 개혁뿐만 아니라 주민 화합에도 도움이 된다며 지지 성명을 발표했다.

그동안 선거구가 옛 여수시와 여천시.군으로 나뉘어 지역주의를 부채질하는 등 삼려(三麗)통합 정신을 희석시켜왔는데, 선거구 통합으로 이같은 폐해가 없어지게 됐다는 것이다.

반면 독립 선거구에서 전남 신안군과 합쳐지는 무안군에선 마을 이장들이 집단 행동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무안군 이장단 대표인 김성수(金成洙.57)씨는 "도청 이전과 무안공항 건설로 인구가 늘어날 가능성을 무시한 처사" 라며 "이장단 모임에서 행정 업무에 협조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고 말했다.

선거구가 14곳에서 10곳으로 줄게 된 전북지역도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전북도의회는 성명을 통해 "단순 인구 수만을 기준으로 선거구를 결정하고 지역 대표성과 농어촌의 특수성은 감안하지 않았다" 고 비난했다.

노동길(魯東吉)운영위원장은 "전북지역의 면적이 국토의 8%인데 의석 비율은 4%에 그치게 됐다" 며 "인구뿐 아니라 면적도 반영했어야 한다" 고 주장했다.

또 완주군으로 통폐합되는 임실군에선 주민들이 "인구가 두배나 되는 완주군과 합쳐지는 바람에 앞으론 우리의 이익을 적극 대변할 지역 출신 국회의원을 갖기가 어렵게 됐다" 며 반발하고 있다.

여수.전주〓이해석.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