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첫걸음] 간접투자 ③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투자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투자신탁 설명서' 다. 이 설명서는 전자제품을 샀을 때 들어있는 사용설명서와 같은 것. 투자신탁 설명서는 고객보호를 위해 상품가입자에게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고객들은 별로 주의깊게 살펴보지 않고 있다.

설명서에는 투자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사실과 함께 펀드의 개요와 특성.운용의 개념과 방법.신탁약관에서 정한 사항 및 운용전문인력(펀드매니저)에 관한 내용 등을 담고 있다.

고객들도 수익률만 따라가는 투자보다는 운용은 어떻게 되는지, 펀드매니저는 누구인지, 위험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알아야 한다.

설명서중 먼저 '펀드의 개요' 는 다른 상품과 차이 나는 주요 내용과 특성을 소개한다. '운용 전문인력 및 운용의 방법' 에서는 해당 펀드매니저의 경력과 향후 운용계획을 설명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신탁약관'.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표> 의 ①에서는 펀드가 주식형인지 공사채형인지를 알 수 있다. 주식형은 투자대상에 주식이 한 주라도 들어가 있는 경우, 공사채형은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다.

추가형이란 언제든지 설정규모를 늘릴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단위형은 모집기간중 들어온 고객의 돈만을 운용한다.

②는 펀드가 언제 개설되고 언제 종료되는지 표시한 것. 추가형 펀드는 무기한으로 정해져 있고 단위형 펀드는 연단위(2년, 3년 등)로 돼 있다.

③은 신탁재산을 어디에 어느 정도 운용하느냐를 보여준다. 주식형은 주식 투자비율에 따라 안정형(20~50%).안정성장형(50%).성장형(70%이상)으로 구분한다.

④는 중도에 해약할 경우 위약금 성격의 수수료를 얼마나 떼느냐를 보여준다. 보통 단기형은 90일이 지나면 환매수수료가 없으므로 만기를 90일짜리로 보면 되고 중기형은 6개월이다.

<표>에서는 6개월짜리로 3개월전에 찾으면 이익난 것의 80%, 6개월전에는 30%를 뗀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자신탁 상품의 만기는 환매수수료가 없어지는 시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3월.6월.1년 등으로 구분된다.

⑤를 보면 만일 1일에 환매를 신청하면 2일 종가를 기준가격으로 3일 기준가를 정하고 4일에 돈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⑥은 운용의 대가를 표시한 것. 위탁자 보수는 운용주체인 투자신탁회사가 받아가는 부분이고 수탁자 보수는 신탁재산을 보관하는 금융기관(보통 은행)이 취하는 것이다. 판매회사 보수는 판매대행을 맡은 증권사 등의 보수다.

이척중 대한투자신탁 상품개발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