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지방에선] "해안선 철책범위 너무 넓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인천 내륙지역의 해안선은 총 65.3㎞다. 이중 73%에 해당하는 47.4㎞가 군 철책으로 설치돼 있다. 이로 인해 인천 시민들은 드넓은 바다를 품은 천혜의 땅에 살면서도 바다와 접할 수 있는 공간이 차단돼 왔다.

그나마 인천시가 4월부터 시민이 보다 쉽게 바다에 접하고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아암도 일대 해변 1.2㎞ 구간을 개방한다는 계획 아래 일을 진행시키고 있다. 이곳에 70억원을 투입해 친수(親水)공간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또 월미산도 군부대 이전으로 이른 시일내 공원으로 탈바꿈해 개방될 날이 멀지않았다니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천시민은 오늘도 해안 철책선 사이로 낚싯대를 끼우고는 하염없이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문제는 안보와 친수공간 확보 사이의 충돌점이다. 두가지 명분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해결의 실마리가 달려 있다.

군(軍)의 입장에서 볼 때 남북 대치상황에서 적 침투예상지역에 대한 철책설치는 불가피하다 할 것이다. 시민 입장에서는 현재의 해안선 철책 범위가 너무 넓다고 본다. 또 매립으로 인해 바다가 육지로 변하는 등 주변여건의 변화가 큰데도 군 당국이 너무 경직되게 판단하고 있지 않느냐는 주장'도 나오고 '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시청과 군 양측에 해본다. 먼저 시민단체.시.군 당국이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협의기구를 구성했으면 한다.

그 다음, 적극적인 대안을 찾았으면 한다. 24시간 개방이 불가피하다면 제한된 시간 동안만이라도 개방한다든지, 일부 군 경계지역을 경찰 경계지구로 전환해 본다든지 하는 대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끝으로 군측이 얼마나 시민사회에 열린 마음으로 접근하느냐가 인천의 현안인 해안선 철책 철거문제의 열쇠임을 덧붙이고 싶다.

고남석 <인천시의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