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프리즘] 일본인 독도로 호적 이전 外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새 천년 맞이에 숨가빴던 지난해말 일본 시마네(島根)현의 일부 주민이 독도로 호적을 옮긴 사실이 드러나자 일본에 대한 독자들의 반발은 거셌다(15건). 박용식(충남 논산시 두마면 엄사리)씨는 "일본이 또 다시 못된 본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사실을 일본에 분명하게 못박아야 한다" 고 강조했다.

박형규씨는 "일본인이 한국 국적을 얻고 싶어 호적을 옮긴 것이니 한국인으로 인정해주는 것은 어떠냐" 는 독특한(?)아이디어를 내기도 했다.

대일(對日)비판과 동시에 점점 노골화되고 있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이 안일하다는 지적도 많았다(8건).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길 때마다 정부는 '강력한 항의' 로만 끝내는 등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앞으로는 좀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 (이한명.충북 청주시 흥덕구 수곡1동)이라며 정부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헌법재판소의 '군복무 가산점 위헌' 판결이 성(性)대결론으로 번졌던 지난해말, 본지 12월 29일자 6면에 실린 김영하씨의 '병역, 성대결 문제 아니다' 는 제하의 시론은 논쟁에 더 큰 불씨를 지폈다.

현재 대한민국 군인을 당시 특권층이었던 로마 군인에 비유한 점, 여성과 장애인을 약자로 몰아붙인 점 등에서 과연 '사회적 약자' 는 누구인가라는 논쟁이 뜨거웠다(40건).

"여성들은 항상 남성보다 부당한 대우를 받고 산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번 문제에 대해선 여성들이 자신을 약자임을 자청하는 것 같다" (yoonone.PC통신 하이텔 독자), "속된 말로 돈 없고 빽 없으면 군대간다는 말이 있듯 현역 입영자들의 상당부분은 도저히 '강자' 라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사회적 약자" (안창기.경기도 오산시 수청동)라며 군대를 다녀온 남성들이 울분을 토했다.

이 사안에 대한 독자들의 투고내용을 곰곰이 살펴보면 '군문제를 성대결로 끌고 가서는 안된다' 는 데는 인식을 같이 하면서도 결국 남과 여의 감정적 대결구도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것 같았다.

박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