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축구 이야기' 발간 카이스트 김종환 교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로봇축구는 로봇캅과 같은 인조로봇의 개발 등으로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우리나라가 로봇축구의 창시국인 만큼 국민들의 관심이 보다 확산되기를 바랍니다. "

'한 평 위의 첨단기술 전쟁' 으로 불리우는 로봇축구. 가로.세로.높이 7.5㎝ 이하인 6대의 앙증맞은 로봇들이 3대씩 편을 갈라 몸싸움을 하고, 삼각패스도 구사하는 등 흥미진진하게 시합한다.

로봇축구를 창시해 '로봇축구의 쿠베르탱' 이란 별칭이 붙은 한국과학기술원 김종환(金鍾煥.42)교수가 '김종환의 로봇축구 이야기' 라는 제목의 책을 발간했다.

"30대 중반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시작해 세계로봇축구연맹을 결성하기까지의 과정은 '험로' (險路)그 자체였습니다. 그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이 책을 썼죠. "

첨단기술에 대한 국내의 인식부족과 빈 주머니 사정도 어려웠지만 국내 벤처기업인과 마이크로 로봇의 사업화를 둘러싸고 벌어진 잡음은 한때 그의 마음을 상하게 했다.

그러나 그는 "첨단이 녹아있는 로봇축구는 21세기 과학문화의 총아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며 로봇축구 기술의 개발에 더욱 매진중이다.

초당 60번의 정보를 주고 받는 무선통신기술, 로봇을 재빠르게 움직이는 제어기술, 공과 선수의 위치를 파악하는 인공지능, 전체 로봇의 위치를 계산해 전술을 짜는 프로그램 등 로봇축구에는 첨단기술이 집약돼 있다는 게 金교수의 지론이다.

대전〓이석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