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DJP 회동' 대응책 모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DJP(金大中대통령-金鍾泌총리)만찬회동 결과에 대해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부총재는 7일 "한마디로 합당하겠다는 뜻" 이라고 분석했다.

"JP는 어제도 2인자답게 처신했다. 그는 결국 DJ의 합당 요구를 수용할 것" 이라는 게 崔부총재의 전망이다.

이부영(李富榮)원내총무도 같은 생각을 밝혔다.

"金대통령이 金총리의 사퇴시기를 늦춘 것은 자민련과 합당하는 데 대한 새 천년 민주신당(가칭).국민회의 내부의 반발을 무마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 이라고 주장했다.

여권이 하나로 뭉칠 경우 내년 총선구도는 크게 보아 1여 대 1야 구도가 된다.

때문에 한나라당은 즉각 대비책 마련작업에 착수했다.

당장은 흠집내기 등의 네거티브 전략을 구사한다는 입장이다.

7일 대변인실 논평 등을 통해 "DJ가 JP에게 신당 총재직과 공천권 보장을 제의했다는 설이 있다" 고 '야합설' 을 퍼뜨린 게 그 한 예.

2여 갈라놓기 전략도 한나라당으로선 빼놓을 수 없다.

당의 전략기획팀에선 "JP와 신당 참여 진보세력간, 자민련 박태준(朴泰俊)총재와 DJP간 틈을 계속 벌려 나가는 작전을 써야 한다" 는 보고서를 지도부에 제출했다고 한다.

이와 함께 현재의 '사건정국' 연장을 통해 여권에 계속 타격을 가한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하순봉(河舜鳳)사무총장이 이날 '언론장악 문건' 사건 국정조사 실시를 여권에 거듭 촉구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런 것들만으론 2여 합당의 위력을 분쇄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崔부총재는 "2여 합당에 대비하기 위해선 당을 쇄신하고 중요 현안에 대해서는 분명한 목소리를 내는 등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전략 구사가 더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