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미플루 1100만 명분 항상 비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27일 현 단계에서는 국가전염병 위기단계를 ‘심각’단계로 상향조정하거나 별도의 범정부대책기구를 구성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날 긴급대책회의에 참석한 장관·부처 관계자들과의 일문일답.

-학교 집단발병이 늘고 있는데 대책은.

“가장 중요한 것은 등교 전 증상을 점검해 일단 증세가 있으면 치료할 때까지 등교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전 장관). 휴업은 (발병자) 숫자가 몇 명 이상 되면 한다는 식의 불문율은 없다. 학교가 자체적으로 판단해 많이 퍼질 것 같으면 휴업을 하도록 하는 게 교과부 방침이다. 다만 어느 정도 수준에서 시·도 교육청이나 교육과학부가 개입할 수 있는지 복지부와 협의 중이다.(안병만 교과부 장관)”

-타미플루 투약지침이 완화됐는데 부족하지 않을까.

“30일부터 전국 모든 약국에서 조제받을 수 있도록 27일 200만 명분을 긴급히 내보냈다. 이미 91만 명분이 깔려 있다. 정부는 사용하면 계속 구매하는 방식으로 1100만 명분의 비축분을 항상 유지하고 있다.(전 장관)”

-정부가 어느 정도로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나.

“국가전염병위기단계 격상은 환자 중증도 등을 종합 판단해 검토할 것이다. 사회적 차단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때 하는 것이다. 현 상황에서는 관리할 수 있다고 판단해 고려하지 않고 있다.(전 장관)”

-아파트 밀집 지역 감염환자의 95%가 학생인 곳도 있는데 그런 경우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나.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검토 중이다. 개별 학교 단위에서 일어나는 휴업 등 학생 발병 규모 등을 어느 정도로 정하는 게 합리적인 기준인지, 권역 단위에서의 휴업 여부 차단 효과 등을 고려해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확정해 발표하겠다. 이미 지역감염은 상당히 발전된 상태여서 휴업조치가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는지 논란이 많다.(장기원 교과부 기획조정실장)”

안혜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