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대통령, 개헌 뒤 하야하려 했다”

중앙일보

입력

박상범 전 청와대 경호실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은 (집권) 말년에 유신헌법을 개정한 뒤 물러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고 서울신문이 26일 보도했다.

박 전 실장은 1979년 박 전 대통령이 시해된 ‘10ㆍ26’ 현장에 있던 경호원 가운데 유일한 생존자이다. 박 전 실장은 당시 경호계장이었다.

그는 신문과의 인터뷰에서“박 전 대통령이 집권 18년 정도 됐을 때 ‘1∼2년 뒤에는 하야를 해야하지 않겠나’라는 말을 사석에서 했던 걸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박 전 실장은 “남덕우 전 국무총리가 회고록에서 1978년 경제특보 재임 당시 ‘유신헌법의 대통령 선출방식은 내가 봐도 엉터리야. 그러고서야 어떻게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겠어’라며 개헌 후에 물러나겠다는 박 전 대통령의 육성을 기록했는데 이 같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그는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유신헌법 개정안 초안 작업을 하던 신직수 법률특보가 ‘10ㆍ26’ 이후 관련 자료를 폐기했다는 증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박 전 대통령은 1~2년 뒤에 하야하려는 생각을 확실하게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박 전 실장은 “포항제철(현 포스코) 제2제철소는 본래 충남 아산에 만들려고 결정됐다가 광양으로 바뀌었다”면서 “당시 박 전 대통령을 모시고 (아산) 현장에 갔을 때 중국 쪽에서 바람이 불어 매연이 내륙으로 들어온다고 전문가들이 건의하자 박 전 대통령이 현지에서 ‘그럼 광양으로 하자’고 결정했던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