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서 찾은 하디디스크] 문건수사 급진전 기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검찰이 12일 문일현(文日鉉)씨의 노트북 컴퓨터에 장착됐던 하드 디스크를 찾아냄으로써 수사가 활기를 띠고 있다.

검찰은 하드 디스크 분석을 통해 文씨와 국민회의 이종찬(李鍾贊)부총재와의 관계는 물론 언론장악 문건의 작성 배경과 경위 등이 드러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검찰은 또 이날 중앙일보 문병호(文炳晧)논설위원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마침으로써 언론장악 문건 수사는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文위원은 검찰조사에서 "베이징(北京)에 있던 문일현씨와 언론장악 문건에 대해 어떤 논의도 한 적이 없다" 고 강력히 부인하고 "국민회의 이종찬 부총재측이 '제3의 인물' 운운하며 나의 이름을 거론한 것은 사건의 진상을 호도하려는 시도로 본다" 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건 작성자인 文씨와 이를 건네받은 李부총재측, 문건을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에게 전달한 평화방송 이도준(李到俊)기자, '제3의 인물' 로 지목했던 文위원 등 모든 관련자들에 대한 진술 청취가 끝난데다 하드 디스크까지 확보한 상황이어서 조만간 수사가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언론문건 부분을 우선 마무리를 지어야 명예훼손으로 피소된 鄭의원에 대해서도 구인장 발부등의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형편이다.

그동안 표정이 어두웠던 검찰은 文씨의 하드 디스크 확보로 모처럼 밝아졌다. 검찰 관계자는 "박순용(朴舜用)검찰총장과 임휘윤(任彙潤)서울지검장이 고민이 한꺼번에 사라졌다" 고 지휘부 분위기를 전했다.

하드 디스크를 확보하지 전까지만 해도 검찰 간부들의 고민은 엄청났다. 관계자들의 상반된 진술만을 토대로 누가 옳고 그른지를 판단해야할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李부총재는 중국 베이징에서 文씨가 혼자 문건을 만들어 보냈고 이를 보지도 않았으니 문건대로 실행된 것도 없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그러나 검찰 내부에서 조차 "그걸 누가 납득하겠느냐" 는 비판론이 만만치 않다. 베이징의 文씨가 보낸 여러건의 문건중 다른건 다 읽어보고 언론대책 문건만 못봤다는 논리는 상식적으로도 납득이 안된다.

게다가 검찰은 '사건의 곁가지' 라며 수사불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지만 文씨가 李부총재로부터 적지않은 금액을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되는 마당이다.

검찰은 결국 하드 디스크를 확보함으로써 큰 짐을 덜게 됐다. 검찰은 文씨의 베이징 행적에 대해서도 상당한 정보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다. 그가 단순한 유학생의 신분이 아니었음은 본인의 진술을 통해서도 밝혀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검찰은 "모든 게 밝혀지면 외교적인 문제가 생길수 있다" 며 이 역시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文씨는 언론문건 파동이 터져나온뒤 곧바로 잠적해 컴퓨터를 철저히 청소하는등 조직직인 은폐를 기도한 흔적이 드러나고 있다.

그의 잠적과 은폐, 돌연한 귀국 등 전 과정이 철저한 사전계획하에서 이뤄진게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검찰은 "현실적으로 수사가 불가능하다" 는 입장이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