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취업정책에 1,200억원 들여 취업률 10% 안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가 IMF이후 실업대란 속에서 실업자들의 취업을 돕기 위해 1천2백여억원을 들여 인력은행 증설 등 공공직업안정기관을 대폭 확충했으나 이를 통한 취업률은 10%도 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노동부가 27일 한나라당 김문수(金文洙)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1천2백96억원을 들여 기존의 공공직업안정기관 3백36곳 외에 고용안정센터 71곳.인력은행 13곳을 증설하고 직업상담원 등 2천1백여명을 증원하는 등 직업안정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올 7월말 현재 공공직업안정기관의 취업률은 98년 구직자 2백23만명의 7%인 15만6천명, 99년 구직자 2백48만명의 12.2%인 30만명이 일자리를 찾는데 불과했다.

김의원은 "취업실적이 부진한 이유는 IMF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든 탓도 있지만 형식적인 상담을 통해 직업소개를 해 구직자의 적성에 맞는 자리를 정확히 소개하지 못한 탓도 크다" 고 지적했다.

고대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