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도 보고 싶어요 꿈 속에라도 한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독자 이의상(46·여·아산 온천2동)씨가 25년 전 돌아가신 어머님의 칠순생신을 맞아 5남매를 대표해 ‘사모곡(思母曲)’을 띄웠습니다. 전문을 사진과 함께 소개합니다. 소중한 글 주신 독자께 감사 드립니다.

어머니 돌아가시고 4년 여가 흐른 1989년 2월, 셋째가 대학을 졸업했다. 아버지도 참석하지 못해 5남매만이 기념촬영을 했다(가운데 이의상씨).

어머니~.

오늘은 돌아가신 어머니의 칠순 생신일입니다. 생존해 계셨다면 자식들이 친척은 물론, 사랑하는 사람들을 초대해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흥겨운 잔치를 열어 드리고 즐거운 하루를 보냈을텐데….

어머님이 안 계신 어머님의 칠순일, 우리 형제들끼리 절에 가 정성껏 마련한 음식을 차리고 어머님의 천상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칠순제를 드렸어요. 두어시간 넘게 제를 올리는 동안 분명 어머니가 우리가 모여 있는 법당에 같이 계시리라 믿으면서요.

늘 아프게만 우리 가슴에 남아계신 어머니! 보고 싶어도 볼 수 없고, 만나고 싶어도 만날수 없는 그 아린 고통은 살아가고 있는 우리 오남매 몫이 었지만. 올망졸망한 철부지 오남매를 이 휑한 세상에 남겨두고 가신 어머님의 마음을 당시 어떠셨을까. 아직 못다한 일들이 너무도 많은 남아있는 세월을 접어가며 홀연히 눈감으실 땐 살을 에고 뼈를 깎는 것보다 큰 고통을 느끼시지는 않았을까.

이젠 걱정하지 마세요. 모두 잘 성장했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막내가 이젠 30대 애기 엄마가 됐어요.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신지 벌써 25년이란 세월이 흘렀습니다. 지금도 그 순간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리고 쓰라려 옴은 변함이 없어요.

숨을 거두신 어머니 발목에 남아있는 미미한 체온이 차츰 차츰 식어가는 게 안타까워 어머니의 가녀린 발목에 매달려 오열과 통곡을 쏟았던 우리 5남매. 그 땐 세상이 온통 하얘지는 것 같았어요. 20살 넘은 내가 그랬으니 동생들은 어땠을까.

세상의 벼랑 끝에 남아있게된 불안감에 몸부림치던 그 날이 벌써 25년 전 일이네요. 어머니는 그렇게 우리 곁을 떠났지요. 그러나 어머니는 아직까지 우리들 가슴속에 늘 같이 살아가고 계십니다.

비록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우리끼리 살아온 삶이지만 정말 착하고 성실하게 살아 왔습니다. 이 모두 어머니가 우리들 가슴속에 꺼지지 않는 촛불이 돼 늘 밝게 비추고 계셨기 때문이지요.

그런 어머니가 오늘은 너무도 보고 싶습니다. 꿈 속에라도 나와 주시면 좋을텐데. 꿈속에서 조차 만나지지 않는 어머니가 오늘은 너무나도 보고 싶습니다. 천상에서 빛나는 아름다운 별이 돼 떠나신 우리 어머니~. 사랑합니다. 정말 사랑합니다. 그리고 보고 싶습니다.

2009년 10월 맏딸 이의상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