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연주회까지 파고드는 상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중.고.대학생의 연주회에 외국 오케스트라가 협연으로 나서는 '믿기 어려운' 일이 벌어지고 있다.

무명의 동구권 오케스트라가 전국을 돌면서 매일같이 협연무대를 갖고 있는 것. 루마니아 콘스탄차의 한 오케스트라는 매년 두 차례씩 악단의 이름을 바꿔가며 내한, 한 달간 25회나 '협연 강행군' 을 벌인다.

한 푼이라도 달러를 더 벌기 위해서다.

이 오케스트라는 대부분 휴가 중인 오케스트라 단원이나 대학생들을 모아 만든 '급조 악단' .4명 이상의 협연자가 차례로 나와 협주곡 중 한 악장만 연주한다.

물론 객석은 연주자의 친지.가족들로 채워지고 소리 소문 없이 '행사' 는 끝난다.

독주자 1명이 주최측에 내는 '협연비' 는 4백만원선. 주최측이 25회 공연이 끝난 후 오케스트라에 지급하는 '개런티' 는 단원 1명당 약 5백달러 (60만원.1회당 2만4천원) 다.

오는 30일부터 7월5일까지 서울.부산 등 5개 도시에서 공연을 갖는 폴란드 크라코프오케스트라는 아예 '축소판' 협주곡을 모차르트.베토벤.쇼팽 스타일로 작곡한 곡을 8명의 협연자가 연주한다.

26~30일 서울에 이어 7월 10일까지 거의 매일 지방 4개 도시를 순회하는 폴란드 비니아프스키 오케스트라도 협연자가 공연마다 4명이다.

연주 기회 감소로 국내 민간교향악단들이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이런 식의 '동구권 음악교류' 가 최근 들어 부쩍 늘고 있어 음악계의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장직 음악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