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 TJ-충청의원들 6월 전대싸고 신경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박태준 (朴泰俊) 총재측과 충청권 의원들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아온 자민련이 6월 전당대회 개최 여부를 둘러싸고 호된 홍역을 치를 조짐이다.

이인구 (李麟求) 부총재 등 일부 충청권 의원들은 최근들어 '새 총재' 를 선출할 6월 전당대회 실시를 공공연히 제기하면서 朴총재측을 압박하고 있다.

반면 朴총재는 21일 전당대회 여부에 대해 "국민회의도 선거제도나 정치개혁.내각제 등을 정리해놓고 하는 것 같더라. 중진들과 논의해보겠다" 며 '연기' 쪽의 뉘앙스를 풍겼다.

현 당헌은 97년 6.24 전당대회에서 총재로 선출됐던 김종필 (金鍾泌) 총리의 2년 임기 내에 전당대회를 소집토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97년 11월 당 중앙위원회에서 총재로 선출돼 당권을 이양받은 朴총재는 JP의 잔여임기까지 총재직을 맡도록 돼있는 상황. 이에 따라 이인구 부총재는 "당헌 당규대로 전당대회를 실시해야 한다" 는 강경 입장을 편다.

다른 충청권 의원들도 "여권 수뇌부 4자회동에서 중선거구를 채택할 경우 전당대회 소집을 요구할 것" 이라며 벼르는 형국이다.

충청권의 '전대 (全大) 소집' 요구에는 朴총재에게 누적된 불만 표출과 함께 국민회의의 정계개편 시도 차단 등 다목적 포석이 깔려있다.

내각제 논의 연기, 중선거구제 전환에서 보듯 자민련이 국민회의에 시종 끌려다니는 '곁다리 정당' 이 된 이유가 TJ의 당 운영 노선 때문이라는 게 이들의 시각.

朴총재가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의 주례회동 결과를 제대로 전달해준 적도 없는데다 'DJ편인지 JP편인지도 모를' 이상한 입장을 취함으로써 국민회의.자민련 관계를 '주 (主) - 종 (從)' 관계로 격하시켰다는 성토다.

충청권 의원들의 이같은 강공이 국민회의측의 '정계개편' 의도에 쐐기를 박기 위함인 것은 물론이다.

6월말까지 '중선거구' 정계개편을 마무리해 자민련의 힘을 뺀 국민회의의 다음 수순은 '합당' 추진일 게 분명한 만큼 당 지도부 쇄신으로 사전봉쇄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朴총재측은 "16대 총선을 앞둔 이 시점에 당 내분을 부추길 전당대회가 굳이 필요한가" "전당대회를 연기한 국민회의측과의 '공동정부 일정' 도 고려해야 한다" 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8월까지의 내각제 휴지기를 이용, 'TJ 입지 강화' 를 꾀하고 있는 마당에 정면 도전장이 날아오자 못마땅한 표정이 역력한 분위기다.

朴총재측의 한 당직자는 "당헌상의 전당대회 개최도 의무조항이 아니며 당무회의 의결로 간단히 연기할 수 있다" 는 논리도 폈다.

이같은 신경전은 당 오너인 'JP의 선택' 에 결판날 것이지만 바람잘날 없는 상태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