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없는 신 의장 아이들 얼마나 큰 상처 입었겠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18일 "(국회 내에 과거사 특위를 설치해)포괄적으로 과거사를 조사한다면 친북활동과 용공활동을 한 것도 다 조사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날 대구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당내에선 이견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과거사 특위 설치를)반대하는 것만은 아니다"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국회 내 과거사 특위 설치 제안에 대한 답변이다.

그는 사견임을 전제로 "그렇지만 특위는 국민이 볼 때 절차적인 공정성이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며 "조사위원들도 검증을 받은 사람들이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의문사위 파문을 의식한 발언이다.

박 대표는 그동안 열린우리당 신기남 의장 부친의 친일 의혹 파문에 대해 언급을 피해왔다.그러나 이날 그는 이 문제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박 대표는 "신 의장에게 아이들이 있느냐.(신 의장 선친에게는)손자, 손녀가 되는 아이들의 입장을 생각해 봤다"면서 "애들은 아무 죄 없는 것 아닌가.얼마나 큰 상처를 입었겠느냐"고 말했다. 연좌제의 불합리성을 지적한 것이다. 신 의장의 사퇴설에 대해 그는 "사퇴는 본인이 알아서 할 일이지만 노무현 대통령이 원한 게 이런 것이냐"며 노 대통령을 직접 겨냥했다.

한나라당 주요 당직자들은 "이런 식이면 정치권이 만신창이가 될 것"(남경필 원내수석부대표)이라고 열린우리당을 견제했다. 김덕룡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여당이 친일조사 대상을 확대하겠다는데, 이렇게 되면 진실규명에 10년이 아니라 100년이 걸릴지 모른다"고 했다. 일종의 '재조사 무용론'이다.

그러면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경제 살리기 등을 언급하며 쟁점을 '과거'에서 '현재'로 치환하는 데 주력했다. 김 원내대표는 특히 실형을 선고받은 노무현 대통령 측근 최도술씨 문제를 거론하며 "국민들은 수십 년 케케묵은 과거사보다 2년 전 성공한 비리의 진실을 알고 싶어한다"고 화살을 돌렸다.

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