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위, 파이낸스등 유사 금융업체 전면조사 착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전국적으로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사설금융업체인 파이낸스사를 비롯, 교통범칙금대행사.렌털사.유사투자자문회사.각종 상조회 등 유사 금융업체에 대해 7일 대대적인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이들 유사 금융기관들은 누구나 설립이 가능한데다 정식 금융기관이 아니어서 그간 감독당국의 조사.감독대상에서 제외돼 왔다.

때문에 상당수 업체들이 이같은 점을 악용, 마치 은행처럼 통장을 발급하는 등 편.불법으로 고객을 유혹하고 있어 사고발생 우려가 높은데다 사고가 나도 피해보상을 전혀 받을 수 없어 다수의 피해자가 생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오는 20일까지 5개 검사국 인력을 동원해 이들 업체들에 대해 전면 실태조사를 벌인 뒤 문제점이 드러나면 관련 부처와 협의해 규제안을 만들거나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등 강력한 제재를 가할 방침이다.

지난해 말부터 부산.경남 일대에 4백여곳 등 전국에 6백여개가 난립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파이낸스사의 경우 확정이자를 주는 예금인양 현혹, 다수의 투자자들을 불법으로 모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고객 돈을 주로 향락업체.한계기업에 길어야 한달 이내의 초단기, 연 40%대의 초고금리로 운용해 그만큼 금융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다.

실제 지난해 말 부산 일대의 2개 파이낸스사 사주가 20억~30억원의 고객 돈을 횡령해 달아나 검찰이 수사에 착수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유사 금융기관은 사고가 나도 피해보상을 전혀 받을 수 없다" 며 "은행금리가 연 10%도 안되는데 30%가 넘는 고금리를 준다면 그만큼 위험도 크다는 것이니 고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이정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