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빨래판으로 써온 신라 문무왕릉비 윗조각 찾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조선시대에 발견됐다가 사라진 뒤 200여 년 만에 다시 발견된 신라 문무왕릉비 상단부. 경주시 동부동 한 주택 수돗가에서 발견됐을 당시 빨래판으로 쓰이고 있었다.(左) [경주=연합뉴스], 오른쪽 사진은 신라 왕실 김씨의 내력, 태종 무열왕과 문무왕의 업적, 신라의 백제 평정 사실, 문무왕의 죽음과 유언 등이 적혀 있는 문무왕릉비의 세부.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조선시대에 발견됐다가 사라진 신라 제30대 문무왕릉비(문무왕 재위 661~681) 조각(사진)이 200여 년 만에 다시 발견됐다.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경주시 동부동 한 주택 수돗가에서 문무왕릉비 상단(上段) 부분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시멘트로 발라 고정시킨 뒤 빨래판으로 쓰던 비석 조각을 수도 검침원이 발견해 신라문화동인회 김윤근(65) 부회장에게 제보하면서 실물이 확인된 것이다.

조선시대 경주부윤(오늘날 시장에 해당하는 벼슬)을 지낸 홍양호(1724~1802)는 자신의 문집 『이계집(耳溪集)』에 “682년 경주 사천왕사에 세워진 문무왕릉비 조각들을 정조 20년(1796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 당시 비문을 탁본한 것 중 한 부가 청나라 금석학자 유희해(1793~1853)의 손에 들어가 그의 저서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에 내용이 실렸다. 그 뒤 실물의 행방은 다시 묘연해졌다가 1961년 경주시 동부동에서 아랫부분 조각이 발견돼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된 상태다. 당시에 찾지 못한 윗부분을 이번에 발견한 것이다.

문무왕릉비에는 신라 왕실 김씨의 내력, 태종 무열왕과 문무왕의 업적, 신라의 백제 평정 사실, 문무왕의 죽음과 유언 등이 적혀 있다. 특히 신라 왕실이 한 무제에 투항한 흉노 태자 김일제로부터 신라김씨의 뿌리를 찾으려 한 흔적을 보여주는 사료다.

국립경주박물관은 “비편 가장자리의 훼손은 심하지만 비문은 잘 남아 있어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글씨의 추가 판독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