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법조비리]이종기 '커넥션' 집중수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대전 이종기 (李宗基) 변호사 수임비리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은 13일 李변호사가 사건을 수임하기 위해 이 지역 법조계 종사자들과 일종의 커넥션을 형성했을 가능성에 대해 집중 수사중이다.

검찰은 92년 개업한 李변호사가 대전 지역에서 최근까지 해마다 2백여건 이상씩의 사건을 수임한 점으로 미뤄 단순한 소개나 알선이 아니라 법원과 검찰.경찰서 등에서 李변호사를 조직적으로 도와줬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압수한 李변호사의 사건 수임장부에 이름이 올라 있는 인물들의 알선 빈도수와 법원.검찰.경찰의 특정 직위.직종과의 상관관계 등을 확인중이며 특히 두차례 이상 소개한 사람들에 대해 수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검찰은 또 李변호사가 이같은 커넥션을 유지하기 위해 장부상에 기록된 알선료와 상관없이 이들에게 수시로 금품을 제공하거나 향응을 베풀었을 것으로 보고 이 부분에 대해서도 집중 조사중이다.

이와 관련해 13일 구속된 李변호사의 전 사무장 김현 (金賢) 씨는 "법원과 검찰의 일반직원과 경찰관들은 내가 알선료를 지급했지만 판사와 검사는 李변호사가 직접 만났다" 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검찰은 13일 대전 지역에서 李변호사가 단골로 드나들었던 룸살롱 등 유흥업소들에 대한 일제 수사에 나서 종업원들을 상대로 李변호사와 동석했던 인물들을 캐고 있다.

검찰은 李변호사와 자주 어울렸던 판.검사나 일반직 직원들의 신원이 확인되는 대로 이들도 모두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확보된 李변호사의 메모와 수첩 등을 통해 李변호사와 특수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의 신원을 찾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의정부지원 비리사건 수사 때도 이순호 (李順浩) 변호사의 단골 술집을 뒤져 의정부지청 검사 5명이 술접대를 받은 사실을 밝혀내고 중징계했다.

검찰은 이와 함께 13일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李변호사의 계좌추적에 돌입했다.

대검은 이를 위해 이날 계좌추적관 3명을 대전 현지로 급파했다.

서울에 있는 李변호사의 은행계좌에 대해선 대검이 직접 추적작업을 벌이고 있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