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성씨 체포 청와대·여권 표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회성씨 체포로 한나라당이 펄펄 뛰고 있으나 여권은 못본 척, 못들은 척 한다.

어차피 검찰이 하는 일이라 뭐라고 말할 입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사건과 관련해서는 그 흔한 성명이나 논평이 한 장도 나오지 않았다.

그저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와 동생 회성씨는 별개" 라는 청와대의 언급 정도속에 추이를 지켜보는 중이다.

◇ 청와대 = 이회성씨 문제에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

공연히 건드려 정국 경색이 심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李총재와 동생 회성씨는 별개임을 강조한다.

박지원 (朴智元) 대변인은 11일 "회성씨 체포는 엄연한 범죄 혐의에 대한 조치이므로 정치적 해석을 할 필요가 없다" 고 역설했다.

정치사정 (司正) 으로 봐선 안된다는 주문이다.

朴대변인은 "어떤 경우에도 정부는 야당총재에 상응하는 예우를 항상 갖출 것" 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박주선 (朴柱宣) 법무비서관은 "아직 李총재 관련부분을 찾았다는 검찰의 보고는 없다" 고 했는데 그렇다고 마냥 李총재를 내버려둔다는 것도 아닌 것 같다.

청와대가 11월초 여야 총재회담 합의를 상기시키는 점이 그렇다.

당시 세풍 (稅風).총풍 (銃風) 사건은 검찰수사결과를 지켜보기로 합의한 바 있다.

따라서 수사결과 李총재 관련부분이 나온다면 그것은 검찰이 알아서 할 문제라는 게 청와대의 입장인 듯하다.

다만 지금은 그럴 때가 아니라는 것뿐이다.

예산안은 통과됐지만 아직 개혁법안처리나 경제청문회건이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국민회의 = 여야협상의 물꼬를 터야 할 한화갑 (韓和甲) 총무 같은 이는 아주 곤혹스러워한다.

그는 "규제개혁 일괄처리법안과 청문회 특위구성, 의원 5명 체포동의안 처리문제 등 국회 3대 현안을 협상을 통해 한꺼번에 풀어야 할 판인데 이런 돌출사건이 생겼으니 어쩌면 좋을꼬…" 라며 한탄했다.

검찰에 대한 은근한 비판이 깔려 있다.

검찰측이 李씨 체포사실을 당지도부에 '통보' 한 것도 체포 당일이라고 한다.

사정정보에 관한 한 국민회의도 소외지대에 있다는 점이 집권당의 입맛을 씁쓸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회창 총재가 지속적.파상적으로 정치적 타격을 받는 게 정계개편 등 장기적.전략적 관점에서 나쁘지 않다는 의식이 깔려 있는 것도 사실이다.

청와대 총재회담.예산안 처리과정에서 '李총재와는 정치를 같이 못할 사람' 이라는 감정이 2여 (與) 지도부 사이에 일반화돼 있는 것도 이런 인식을 낳고 있다.

이연홍.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