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규 검찰총장 후보자 “대검 중수부 예비군처럼 운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김준규 후보자가 17일 인사청문회에서 요트 관련 질문에 대답하며 요트 사진을 들어 보이고 있다. [뉴시스]

김준규 검찰총장 후보자가 1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를 평시 예비군처럼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수부는 평상시는 직접 수사보다는 인력 면에서 특수 수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지검 특수부를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겠다”고 말했다. 이어 “중수부에는 필수 인력만 남기고 나머지는 지검에 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중수부 축소 구상을 밝힌 것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법무부·검찰 수뇌부에서 중수부 축소 입장을 밝힌 것은 김 후보자가 처음이다.

◆“총장 직접 수사 때만 동원”=김 후보자의 발언은 노철래(친박연대) 의원이 중수부 폐지론에 대한 생각을 묻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는 “머릿속의 구상”이라면서 예비군론을 꺼냈다. 김 후보자는 “중수부의 기능은 필요하다”면서 “평시에는 중수부의 요원을 지정해 각 지검 특수부에 배치하고, 검찰총장이 지휘할 전국적 사건이 생기면 예비군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 이춘석 의원이 ‘대검 중수부를 축소하는 방식의 제도를 시행하다가 (이후) 지검에 기능을 모두 이관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하자 “가능한 한 지검 특수부를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검찰개혁과 관련해 “검찰이 변화해야 한다는 게 제 생각이며 수사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 제일 중요한 부분”이라며 “하드웨어가 아니라 일하는 방식과 자세 등의 소프트웨어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과 연발한 김 후보자=김 후보자는 자신에 대해 제기된 위장전입 문제 등 도덕성 논란에 대해서는 ‘죄송’ ‘사과’ ‘송구’를 연발하며 적극적으로 잘못을 시인했다. 지난달 국회 청문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낙마한 천성관 전 후보자가 스폰서 의혹을 사고 있던 사업가 박모씨와 “해외여행을 간 적이 없다”며 거짓말을 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춘석 의원이 창원지검 차장으로 근무할 당시 매형의 보험사기 의혹 사건을 담당하던 검사에게 전화한 것은 압력이 아니냐고 묻자 “검찰 간부 친척이 조사를 받으러 가는데 담당검사에게 알려주는 게 인지상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순형 의원이 다시 “검사 윤리강령을 어긴 아주 부적절한 처사”라고 꼬집자 “남의 시선을 생각 못하고 처신했다는 생각이 들고 반성하고 있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정효식·박유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