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의사… 케보키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자비로운 천사인가, 연쇄 살인범인가.

22일 미 CBS방송을 통해 안락사 장면이 소개되면서 안락사를 미국 전체의 사회문제로 부각시킨 잭 케보키언 (70) 박사의 실체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는 수척한 얼굴과 퀭한 눈 때문에 차갑고 어두운 인상을 풍긴다.

그러나 고통받는 말기환자나 시한부 인생들에겐 고통을 덜어주는 구원의 천사로 불리고 있다.

미시간주 폰티액에서 옛소련 이민의 후손으로 태어난 그는 배관공 부친을 두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가족중 유일하게 대학문을 나온 '인재' 였다.

미시간대 의대를 졸업한 그는 한국전쟁중 군의관으로 복무하기도 했다.

종전후 60년대 사형수들의 시신을 해부용으로 이용하자는 제안을 담은 책을 써 도덕적 논란을 일으켰다.

케보키언이 대중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진 시기는 90년. 그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도움을 요청받고 안락사 처벌규정이 없던 오리건주로 날아가 야외공원에 주차된 승용차 안에서 마취주사와 약물을 이용, 첫번째 안락사를 시술했다.

당국이 그의 의사면허를 정지시키고 약품구입을 금지하자 얼굴을 가리고 환자에게 일산화탄소를 흡입하게 함으로써 죽음을 도와주기도 했다.

이런 식으로 지금까지 모두 1백20여명의 안락사를 도왔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그를 "20세기 동안 주목할 만한 인물중 한명" 이라고 꼽았다.

'살인기계' 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그는 안락사에 대해 "결코 죽음에 탐닉한 것이 아니라 관심이 있을 뿐" 이라며 자신의 행위를 신념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현재 고향 폰티액에서 독신으로 살고 있는 그는 바하의 음악을 즐겨 듣는다.

하재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