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감]권력집중 싸고 혼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운영위는 11일 김중권 (金重權) 청와대 비서실장을 국회 국감장으로 불렀다.

金실장은 중국으로 떠난 김대중 대통령을 배웅한 뒤 오후 4시쯤 도착했다.

운영위는 각 당 총무단으로 구성됐다.

야당 의원들은 사정 (司正).중앙인사위 설치.청와대 사칭 사기 등을 거론하며 이를 "청와대로의 권력집중 현상" 이라고 규정, 추궁했다.

청와대 권력집중 논란에 자민련이 동조, 미묘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반면 국민회의 의원들은 과거 정권의 문제점을 들춰내며 맞섰다.

먼저 한나라당 이규택 (李揆澤) 의원이 "항간에 청와대가 사정의 주체라는 말이 나돈다" 고 꼬집었다.

李의원은 "金실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청구.국세청 대선자금 불법모금 사건의 상당한 증거가 확보된 것으로 안다고 발언한 것은 청와대가 사정의 주역임을 확인한 것" 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자민련 구천서 (具天書) 원내총무가 나서 "대통령 직속으로 중앙인사위를 설치하면 총리와 장관의 인사권이 제한되고 청와대 권한집중으로 국정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고 강조했다.

具총무는 전날 김대중 - 이회창 여야 총재회담과 관련, "청와대는 여 (與) - 여간 협조채널이 작동되지 않은 점을 반성해야 한다" 고 불편한 심기를 보였다.

이밖에 "금강산 사업권을 따낸 현대에 대한 범정부적 특혜조치의 배후는 청와대" (黃圭宣의원) "전문 경호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경호실 신규임용자 18명중 7명이 정당 출신" (權琪述의원) 등 야당 의원들의 추궁이 계속됐다.

반면 국민회의 의원들은 정치현안에 대한 언급을 자제했다.

국민회의 방용석 (方鏞錫) 의원은 "전두환 (全斗煥) 전 대통령이 통치사료 일부를 사저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된다" 면서 "이를 회수해 국가기록물로 보존해야 한다" 고 제안. 청와대 사칭 사기사건에 대해선 여야 모두 거론했다.

다만 국민회의측은 김영삼 (金泳三) 정권 시절의 케이스를, 한나라당은 현정권에 들어 터진 사기사건을 지적했다.

윤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