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침체는 좌파적 정책 탓"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4일 "한국이 투자기피국이 되고 있고 한국 경제가 살아나지 못하는 이유는 (현 정부가) 좌파적인 정책을 쓰고, 사회주의로 가고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케이블TV인 MBN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주장하고 "진정한 개혁은 좌파 쪽으로 가는 것이 아니며, 국민이 잘 살게 하는 방향으로 가는 선진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간첩이 민주인사가 되고, 간첩 출신이 군장성들을 취조하는 것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가능한 일인가"라며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에 대해 원칙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경제를 살리기가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체성과 관련된 얘기는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라며 "대통령이 입장을 분명히 밝힌다면 야당은 경제문제에 대해 협력할 자세가 돼 있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여권이 추진 중인 신문개혁과 관련, "정부가 (언론의) 비판과 감시를 받고 있는 당사자인데 유독 정부에 대해 강한 비판을 하는 곳만을 대상으로, 심지어 그걸 없애려는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을 가지게 한다"며 "언론개혁은 누가 봐도 공정하게, 국민의 공감대를 얻는 기준으로 가지고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분명히 책임문제가 나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박 대표는 이날 원희룡 의원 등 소장파 의원들과의 만찬에선 "정체성 문제를 갖고 전면전을 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고 한 관계자가 밝혔다. 특히 박 대표는 "정수장학회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생각하는 것이 있으니 믿고 맡겨달라"고 당부한 뒤"부친 문제도 객관적으로 보고 있으니 잘 알아서 하겠다"고 말했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박 대표는 "나 자신도 16대 때 친일진상규명법에 찬성한 사람"이라면서 "일부 절차적인 문제가 있어 이의를 제기한 것이지, 아버지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며, 두려운 부분도 없다"고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