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CCTV에 갇힌 대한민국 국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CCTV 운용 목적은 “범죄 예방”(사무처 설명)이다. 물론 무슨 범죄가 얼마나 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국회 사람들은 지난 연말부터 ‘충돌-부상-소송전’을 반복해 온 국회 폭력 사태가 계기가 됐다고 짐작할 뿐이다.

그래서 민주당은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한다”(노영민 대변인)며 한동안 국회사무처 측을 상대로 항의하기도 했다. 한나라당 내에서도 말은 안 했지만 감시를 받는다는 사실에 불편해하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미디어 관련법이 처리되자 CCTV를 둘러싼 논쟁은 엉뚱하게 바뀌었다. CCTV를 찜찜해하던 각 당은 갑자기 CCTV를 신줏단지 모시듯 하고 있다.

민주당은 “헌법기관(의원)의 행위를 개인 정보라고 하는 건 어이가 없다”(김종률 의원), “대리투표의 물증“(전병헌 의원)이라며 CCTV 화면을 원하고 있다. 질세라 한나라당도 ‘공개’를 요구했다. 공개하는 건 찍는 것보다 더 예민한 문제인데도 말이다.

지난달 24일 사무처가 CCTV 대신 국회방송의 본회의장 녹화분을 제공하자 논쟁은 더 단순해졌다. “서로 다른 화면을 줬다”(민주당), “똑같은 화면이다”(한나라당) 등으로 일주일째 옥신각신하고 있다. 간식 시간에 초등학생들이 “쟤는 크림빵인데 나는 왜 팥빵을 주느냐”고 다투며 빵을 나눠 주는 사람(선생님)에게 매달리는 식이다.

여야가 자신에게 유리한 화면을 달라고 아우성치는 사이에 국회가 CCTV의 요새가 된 상황을 문제 삼는 주장들은 실종됐다. 불신의 늪에 빠져 싸움의 수단 개발에 골몰하다가 한국 국회는 CCTV에 갇혀 버렸다.

임장혁 정치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