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대 구석구석 살펴보기 ① - 경찰대

중앙일보

입력

실린더 개방! 실탄 장전! 사격 개시! 탕!탕!탕! 방학을 맞아 고요하던 경찰대 사격장에 갑자기 권총 소리가 요란하다. 같은 시간 체포·호신술을 배우고 있는 무도관에선 우렁찬 기합소리가 사격소리 못지않다. 중앙일보 MY STUDY가 특목대 체험시리즈 첫번째로 이동준(분당중2)군과 함께 경찰대‘2009 청소년 폴리스아카데미’를 찾았다.


“지금 여러분이 들고 있는 권총은 실제 우리나라 경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38구경 권총입니다. 지금부터 사격 실습이 시작됩니다. 모두들 긴장의 끈을 놓지 마세요.”

지난 21일.경찰대 사격장에서 지도교수의 설명에 따라 사격 실습을 하던 캠프 참가 학생들의 얼굴에는 신기해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와. 이렇게 재미있을 줄은 몰랐어요. 영화에서 보면 주인공이 아무렇게나 총을 쏴도 다 맞는 것 같던데 그게 아니네요.”

사격 실습을 마친 이동준군은 ‘신기하다’는 말을 연발한다. 단 한발도 표적에 명중시키지 못했지만 “실제 총을 쏴본 것 하나만으로 친구들에게 자랑거리가 생겼다” 며 즐거워했다.

사격실습이 끝난 후 체포·호신술을 배우기 위해 무도관으로 향하던 이군은 갑자기 기자에게 “CSI 아세요?”라고 묻는다. ‘길 그리섬’ 반장처럼 되는 게 꿈이란다. 이군의 말을 듣고 옆에서 따라 걷던 김형담(경찰대3)씨가 말문을 연다. “경찰대에 들어오려면 공부도 잘하고 운동도 잘해야 하는 것알지.” “그럼요. 저 이래봬도 반에서 5등 정도 하거든요. 운동도 보통 이상은 해요. 앞으로 더 열심히 해서 형처럼 경찰제복 입어보고 싶어요.”

학생들은 무도관에서 이원홍 무도교수로부터 길가다 나쁜 사람을 만나 멱살을 잡혔을 때 빠져나가는 대처법등 체포호신술에 대해 배웠다.

이어 경찰대 학생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한 학생들은 풋살 경기장으로 이동해 남학생은 팀을 이뤄 풋살, 여학생들은 단체 피구 경기를 했다.체력단련 시간을 이용해 이군을 비롯한 몇몇 학생들은 경찰대 학생들과 상담 시간을 가졌다. 경찰대에 관심이 많다 보니 이것저것 질문이 봇물터지듯 쏟아졌다. “경찰대에 들어오려면 공부를 얼마만큼 잘해야 하나요” “왜 여학생은 10%밖에 뽑지 않나요” “언니는 남학생들 틈에 끼어 힘들지 않나요” “수업료는 왜 내지 않는 건가요”

자세한 문답이 이뤄지다 보니 어느새 정해진 1시간이 훌쩍 넘어섰다. 다음은 하루 일과 중 가장 긴장되는 시간인 야간 점호.

야간점호를 위해 부동자세로 서있던 이군의 이마에 땀방울이 맺혔다. 이군과 방친구 2명은 점호전 정리를 미처 끝내지 못해 지도관으로 단체로 벌점을 부과받고 방정리도 다시 했다. 벌점 대가로 다음날 화장실 청소도 했다. 이군은 “점호를 매일하면 정말 힘들 것 같다”며 “하지만 적응만 하면 경찰대 생활도 재미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폴리스 아카데미= 경찰대에서 매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여름방학 중 캠프로 경찰대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을 학교로 초청해 3박 4일간 진행된다. 실제 경찰대의 일상과 똑같이 진행된 이번 2009 캠프는 지난 3월부터 경찰대학생들이 실시해온 가정 학습지도봉사 수혜 학생 125명을 초청해 지난달 20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됐다.

경찰대 이것이 궁금해요 (경찰대 학생과의 대화에서 나온 문답)

Q골프장이 학교에 왜 있어요?
경찰대 학생은 모두 교양체육 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그 중 골프도 인기 있는 과목 중 하나죠. 학생들의 골프 연습을 위해 학교 내에 골프장을 만들었어요.

Q왜 여학생을 10%만 뽑는 거죠?
최근 일선 경찰서에 여성 경찰 비율이 매년 늘어가고 있어요. 아마 경찰대에서도 그에 상응하게 여학생 비율을 점차 늘려갈 것이라 생각됩니다.
Q여학생에게만 적용되는 규칙이 따로 있나요?
학교 생활면에서 남녀 차별은 존재하지 않아요. 다만 복장 규정 중 헤어스타일에 대한 규제는 있습니다. 심지어는 체력 훈련도 함께 받습니다.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어디서건 주목을 받아요. 뒤쳐지거나 무시 받지 않도록 더 열심히 생활에 임합니다.

Q기숙사 생활도 해야 하는데 수업료가 비싸지 않나요? 전액 국가에서 지원해줍니다. 수업료에다 노트북 등 각종 학업에 필요한 기기들도 모두 무상으로 지급돼요. 그래서 경찰대 졸업생들은 의무복무기간(6년)이 있어요.

동아리 활동도 할 수 있나요?
일반 대학교에 있는 거의 모든 동아리가 경찰대에도 똑같이 있어요.

Q경찰대가 왜 좋은가요?
우선 수업료가 없다는 점이죠. 남학생들에겐 군대에 가지 않는다는 점도 장점이겠네요. 졸업 후 진로 걱정이 없고,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는대학원이나 해외 교환 학생 진학자격이 주어집니다. 졸업 후 사법시험을 거쳐 판사나 검사가 되는 경우도 있고, 외교관으로 파견되기도 합니다.

< 김지혁 기자 mytfact@joongang.co.kr >

< 사진= 최명헌 기자 choi315@joongang.co.kr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