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으로]'연도별로 읽는 우리 삶의 기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오는 15일은 우리가 일제의 굴레에서 벗어난지 53돌이 되는 날이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지 50돌이 되는 날. 정부에서는 '제2의 건국' 선언을 준비하고 각종 단체에서도 여러 행사를 마련하는 등 이날의 의미를 되새기려는 움직임이 분주하다. 도서출판 윤컴에서 출간된 '연도별로 보는 우리 삶의 기록' 시리즈. 1차분으로 '1945생 (生)' 부터 '1949생' 까지 5권이 나왔다.

출판기획가 우성흠씨가 해방 후부터 한 해 한 해 우리네 발자취를 차분하게 짚어냈다.

특히 내용이 딱딱한 종전의 현대사 관련서 (표 참조) 와 달리 독자들을 역사의 현장으로 흥미롭게 안내한다.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처럼 풍부한 시각자료를 동원하며 50여년 전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것. 어렵고 힘겨웠으나 꿈만은 잃지 않았던 40년대 중.후반 풍경이 펼쳐진다.

친숙감을 주려고 '생' 의 제목을 붙인 것도 아이디어. 때문에 중장년층들은 흑백사진처럼 색바랜 과거에 젖어들고, 신세대들은 부모들의 겪었던 애환을 자연스레 확인하게 된다.

"역사는 외우는 것이 아니라 느껴야 한다" 는 편저자의 취지가 반영된 결과다. 예로 50년 전인 48년편을 보자. 국내 최초로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가 무대에 올랐고, 민족시인 윤동주의 유작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가 발간됐다.

마카오에서 밀수한 옷감으로 양복을 해 입은 '마카오 신사' 가 유행했고 여성들만으로 구성된 극단 '여성소극장' 이 선보였다.

저자는 이처럼 문화.유행.패션 등 일상생활을 따뜻한 시선으로 응시하며 과거로 여행을 떠난다.

또한 제주도 4.3항쟁, 김구의 북한행, 95.5%의 투표율을 보인 5.10 총선거, 여순반란 사건, 유엔의 한국정부 승인 등 정치.사회적 사건도 빠뜨리지 않았다.

흠이라면 내용이 단편적이어서 당시 사회에 대한 총체적 해석이 부족한 느낌. 엮은이는 "자료가 비교적 많이 남은 50년대 중반부터는 깊이가 생길 것이다" 고 답했다. 시리즈는 올해 69년편까지 모두 25권이 출간된다.

내년부터는 매달 한 권씩 나오며 월드컵이 열리는 2002년에 총58권으로 완간할 예정.

박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