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TV 잘 보면 '정보 상자' 잘못 보면 '바보 상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우리 가족들끼리 오손도손 얘기 나눌 시간을 뻔뻔스럽게 훔치는 것은? 규칙적인 생활 리듬을 깨뜨리고 단잠을 방해하는 것은? 편안히 쉬면서 생각할 수 있는 여유를 빼앗는 것은? 숱한 사람들의 체력과 시력을 떨어뜨리는데 한몫을 하는 것은? 그런데도 우리 집안에서 가장 인기있는 것은? 결코 적지않은 가정에서 그 정답은 'TV' .요즘 어린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마지막까지 포기하고 싶지 않은 물건' 으로 꼽는 20세기의 필요악 (?) 은 왜 '바보 상자' 라 불릴까.

◇꼭 보고싶은 프로그램 : 신문에서 TV프로그램을 찾아 꼭 보고 싶은 프로그램들을 색연필로 표시해 보자. 모두 몇가지나 될까. 그 프로그램들을 다 보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내가 반드시 해야하거나 하고싶은 일들을 가장 무리없이 하기 위한 생활계획표를 짠 다음 내가 보고 싶은 TV프로그램의 방영 시간은 다른 색깔로 적어넣자. 그 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는지, 만일 겹친다면 어떻게 해야 좋을지 생각해보자.

※교사.학부모께 : TV시청 시간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할 경우 얼마나 많은 손해를 입게될지 생각해 볼 수 있는 활동입니다.

고학년이라면 아예 1주일동안 계속해서 자신의 TV시청 시간과 생활계획표를 비교해보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겠지요.

◇권하고 싶어 : 모든 시청자에게 좋은 TV프로그램이란 그리 흔치않다.

대개 특정 시청자 계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만들기 때문이다.

하루, 또는 사흘 등 일정한 기간을 정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본 다음 부모.동생.친구 등에게 특히 권할만한 프로그램들을 찾아보자. 프로그램 이름, 방송국과 방송시간, 추천하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주면 얼마나 기분좋은 '깜짝 선물' 이 될까. 이때 솜씨를 발휘해서 멋진 카드모양으로 만들면 금상첨화.

※교사.학부모께 : 이런 활동에 학생들이 흥미를 보인다면 '우리가 뽑은 좋은 프로그램' 을 계속 하는 것도 좋겠군요.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각각 우수 프로그램들을 제한없이, 또는 다섯가지나 일곱가지씩 적어보도록 합니다.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따져보면 좋은 프로그램의 조건이나 특징도 알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이나 관점을 논리적으로 조리있게 표현하는 방법도 익힐 수 있을 것입니다.

◇TV광고를 보니 : TV프로그램은 시간대별로 어떤 특징이 있을까. 신문에 실린 TV프로그램을 어린이.노인.청소년.가족 등 주요 시청대상과 뉴스.드라마.오락 등 프로그램 형태로 분류해보자. 이때 어린이는 노란색, 청소년은 파란색 등 색깔을 정해 표시해서 전체적으로 어떤 색깔이 제일 많거나 적은지 등을 살펴보면 그 특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교사.학부모께 : 각자 시청할 프로그램들을 슬기롭게 선택해서 미리 정한 프로그램만 보지 않을 경우 가벼운 흥미 위주의 프로그램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빼앗기게 될는지 실감할 수 있겠지요. 또 각 프로그램의 주요 시청대상을 파악할 때 그 프로그램의 앞 뒤에 방송되는 광고의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려주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신문 기사와 TV뉴스 : 신문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주요 기사를 골라 TV뉴스의 헤드라인을 미리 쓴다.

그날 저녁 TV 뉴스를 보면서 자신이 미리 써본 내용과 비교해보자. TV뉴스 시간을 놓쳤다면 인터넷을 이용, 각 방송사의 홈페이지를 찾아 헤드라인 뉴스들과 비교하는 것도 좋은 방법.

※교사.학부모께 : 같은 사건이나 사실에 대해 신문과 방송의 보도는 어떻게 다른지 익힐 수 있는 활동입니다.

관심있는 신문 기사로 1분 TV뉴스 원고 쓰기 등을 해보는 것도 아주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또 고학년이라면 주어진 시간동안 신문을 읽은 다음 '오늘의 주요 TV뉴스 만들기' 등의 활동으로 발전시키는 것도 좋겠지요.

◇TV보다 더 좋은 것들 : TV를 보는 대신 할 수 있는 더 보람있는 일들 (예 ; 가족과 산책하기, 별자리 관찰, 애완동물 목욕 등) 과 무분별하고 지나친 TV시청 때문에 생기는 문제들 (예 ; 대화부족, 불면증, 우울증, 비만, 소비욕 자극 등) 도 한번쯤 따져볼 일. 신문을 펼쳐놓고 직접적.간접적으로 TV의 영향을 받고 있는 문제들을 찾아보자.

※교사.학부모께 : TV시청 시간을 전국민이 하루 1시간씩 줄이면 에너지를 1년에 4백10억원어치를 절약할 수 있다든가, 학생들의 평균 키와 몸무게는 계속 늘지만 체격.체질.체력은 계속 나빠지는 것은 컴퓨터게임과 TV시청 등에 따른 운동부족 탓이라는 기사들도 좋은 예가 될 것입니다.

이 때 학생들이 찾아낸 기사들이 TV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말이나 글로 조리있게 표현해보도록 지도하면 더욱 바람직하겠지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