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른 치아 만들기 상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고른 치아는 아름다움의 한 요소. 들쭉날쭉한 치아를 아름답게 가꾸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교정치료에 대한 견해가 제각각이어서 헷갈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김태우 (金泰佑.서울대치대 교정과교수) 김종태 (金鍾泰.신정치과의원 원장.서울대교정과 외래교수) 현재만 (玄在萬.현재만교정치과의원 원장) 의사의 도움말로 바른 상식을 알아본다.

교정 1기치료는 젖니시기.젖니가 간니로 바뀌는 시기에 부분적으로 하는 치료. 대부분 끼웠다 뺐다하는 가철식 교정장치나 간단한 장치로 치료한다.

2기치료는 영구치열기의 교정. 주로 고정식 교정장치를 이용하며 이를 뽑기도 한다.

교정치료가 끝난뒤 재발방지를 위해 치아주위조직이 굳을 때까지 1~2년간 보정장치를 낀다.

▶턱뼈교정 = 개인별 차이가 있긴 하지만 만5세정도부터 성장을 관찰해 만8세 이전에 1기치료를 끝내주도록 한다. 영구치가 난후 교정이 끝난 치아배열이 삐뚤어지면 2기치료를 받아야 한다.

▶성인교정 = 교정치료는 어느 나이에나 가능하나 성인들은 치아이동 속도가 늦어 기간이 더 걸리며 잇몸관리 등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위.아래턱이 잘 맞지 않는 심한 이상은 교정만으로 무리하게 치료하면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골격 부분을 수술한 뒤 교정치료를 통해 보완하는 것이 좋다. 수술은 골격 성장이 끝난 후 (여자14~15세 이후, 남자 18~19세 이후)가능하다.

▶교정한다고 키가 크진 않는다 = 위.아래 턱이 맞물리지 않아 입을 벌릴때 아프고 턱이 자주 빠지는 악관절 장애 환자들은 교정후 숙면을 하게 돼 키가 클 수도 있다. 그러나 무조건 교정한다고 해서 키가 크는 것은 아니다.

▶특수한 교정치료가 부가적으로 전신질환을 고친다는 것은 아직까지 근거가 없다 = 특수한 교정치료를 통해 치아나 턱관절과 전혀 관계가 없는 전신질환이 고쳐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과학적으로 분석.발표된 적이 없다.

▶이 안쪽으로 교정장치를 붙일 때는 숙련의를 찾으라 = 안으로 붙이는 교정기는 밖으로 붙이는 교정기보다 비용이 1.5배~2배나 비싸다. 또 매우 세밀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숙련되지 않은 교정의가 할 경우 치료기간이 길어지기도 한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 색깔과 비슷한 세라믹 교정기나 플라스틱을 하는 편이 경제적이다.

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