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재계]5대그룹 빅딜 적극 참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와 재계는 자동차.전자.반도체.중화학분야 등 과잉.중복투자 업종과 적자산업을 대상으로 5대그룹간 빅딜 (대기업간 사업교환) 을 적극 추진, 이른 시일 안에 성과를 가시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부채비율 축소.상호지급보증 해소 등 재무구조 개선방안도 차질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양측은 또 고용안정과 산업평화를 위해 국제통화기금 (IMF) 기간중 정리해고를 최대한 자제하는 대신 노조가 무 (無) 쟁의를 선언하는 '노사 대타협' 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규성 (李揆成) 재정경제부장관.강봉균 (康奉均) 청와대 경제수석 등 정부 고위 관계자와 김우중 (金宇中)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대행.정몽구 (鄭夢九) 현대회장.이건희 (李健熙) 삼성회장.구본무 (具本茂) LG회장.손길승 (孫吉丞) SK 부회장 등 5대 그룹 회장, 김병주 (金秉柱) 서강대 교수 등 정.재.학계 인사 19명은 26일 오후 서울 롯데호텔에서 '1차 정부.재계 간담회' 를 갖고 경제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모임은 지난 4일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전경련 회장단의 청와대 회동 때 정.재계 대화채널을 가동키로 합의한 데 따른 것으로 새 정부 들어 핵심 경제관료와 대기업 총수들이 대거 한자리에 모인 것은 처음이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대기업이 빅딜을 통해 획기적인 구조개편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5대 그룹 계열기업간 부당 내부거래를 통한 계열사 지원을 차단하고,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철저히 점검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대기업이 부채비율을 내년 말까지 국제수준 (2백%선) 으로 낮추고, 2000년 3월까지 상호지급보증을 해소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수출증대를 위해 수출환어음 (DA) 매입 등 수출입금융을 6~30대 대기업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한편 강봉균 수석은 빅딜 및 정리해고 문제 등과 관련, "빅딜은 5대 그룹 구조조정의 가장 중요한 관건" 이라고 강조하고 "우선적으로 대우.SK그룹을 포함한 5대 그룹의 빅딜을 적극 추진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康수석은 또 정리해고 부문과 관련, "구조조정과 관련해 정리해고 등은 불가피할지 모르나 근로자 측에서 임금.근로시간조정과 관련해 양해가 구해지면 고용조정을 최대한 피할 것이며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날 모임에는 정부에서 진념 (陳稔) 기획예산위원장.이기호 (李起浩) 노동부장관.박태영 (朴泰榮) 산업자원부장관.이헌재 (李憲宰) 금융감독위원장.전윤철 (田允喆) 공정거래위원장 등 7명, 재계에서 5대그룹회장.부회장과 손병두 (孫炳斗) 전경련부회장.좌승희 (左承喜) 한국경제연구원장 등 7명이 참석했으며 학계 인사로 전경련 자문위원인 송병락 (宋丙洛).조동성 (趙東成).곽수일 (郭秀一.이상 서울대).박진근 (朴振根.연세대) 교수 등 5명이 참석했다.

이재훈·고현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