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고개든 야당내 총리인준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나라당 내부에서 현재의 총리서리체제가 매듭되도록 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얼마전 이회창 (李會昌) 명예총재가 여당이 야당의원 빼내가기를 중지한다는 전제하에 김종필 (金鍾泌) 총리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재제출 처리하는 문제를 언급한 데 이어 최병렬 (崔秉烈) 서울시장후보도 야당이 金총리서리 문제를 풀어줘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

국회에서 총리인준안의 표결이 중단됐으나 여야간 해결책을 찾지 못해 서리체제가 두달 반 이상 끌어오는 것 자체가 우리 정치의 한계다.서리체제라는 것이 국회의 동의를 얻기 전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임시체제인데 지금은 서리딱지를 달고 계속 정상적인 총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니 현실적으로 봐도 매우 불합리하다.

특히 이 문제가 정치권의 고질적인 반목과 대립의 상징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빨리 해결책을 강구해야 할 과제다. 6월 재위기론.실업.구조조정 문제 등 나라는 국민의 온 힘을 모아도 해결하기 어려운 숙제를 안고 있는데 여야는 눈만 뜨면 서로 헐뜯고, 으르렁대니 이런 분위기에서 무슨 국민적 힘의 결집을 이룰 수 있겠는가.

총리인준에 대한 여야의 논리가 서로 다르지만 이 문제가 야당이 여당의 발목을 잡는 것으로 국민에게 비춰지고 있다는 야당 자체내 지적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야당이 국정에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반대할 것은 분명히 대안을 내 반대하는 새 야당이 돼야만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경색된 시국을 풀어야 할 1차적 책임은 여당에 있다. 여당도 야당에서 나오는 이러한 목소리가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더 이상 야당을 자극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이미 이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한 바 있다. 표결중단 사태가 빚어진 데는 여당의 책임이 크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당이 사과하고 대신 야당은 개표요구를 철회하고 대통령이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다시 내 재투표토록 하는 것이다.

JP도 이 결과에 대해서는 승복한다고 한 만큼 빨리 매듭을 지어 행정부가 제대로 일할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