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승용차 억제책 약효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서울시가 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승용차 운행 억제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서울시가 발표한 교통센서스 결과 97년말 승용차의 수송분담률은 20.6%로 90년의 14%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승용차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그동안 실시해온 혼잡통행료 시행과 도심지 주차료 인상 등 각종 승용차 운행 억제정책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서울 시내 1백30개 주요 지점에서 노면교통량 조사 결과 승용차 비율이 62.8%로 화물차 14.2%, 택시 12.7%, 버스 4.2%와 비교할 때 2배이상 높은 도로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번 조사에서 지하철 수송분담률은 30.8%로 버스 (29.4%) 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그러나 96년 지하철 이용인원의 경우 건설 당시 예상했던 하루 9백60여만명에 비해 1백50여만명이나 적은 8백1만여명만이 이용, 수송분담률이 예상보다 5.2% 포인트나 낮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하철 건설과정에서 승객수와 적정 노선 등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결여된 결과 10조원이라는 막대한 건설비용에도 불구하고 지하철의 수송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며 "앞으로 지하철 환승체계 등을 개선하고 3기 지하철 건설의 건설방식과 노선 등도 전면 재조정해야 한다" 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센서스에서 서울시민의 이동수를 나타내는 총통행량은 2천7백20만3천회로 90년 2천4백63만8천회에 비해 10.4% 늘었으며 1인당 하루 평균 2.62회씩 움직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문경란 기자

〈moonk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