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지역경제대책 특별위원회 박정은위원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경제난 타개를 위한 대구시의회의 '지역경제대책 특별위원회' (위원장 朴定誾)' 가 두 달여의 활동을 마무리 짓고 그 결과를 4일 시의회에 보고했다.

朴위원장 등 시의원 10명으로 지난 2월23일 구성된 이 특위는 그동안 업계.경제단체 관계자와 모두 17회의 간담회를 갖고 지역경제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들을 가려냈다.

특위 조사 결과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이 산업현장에서 제대로 실효를 거두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유로운 산업활동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가 여전히 풀리지 않아 업계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특위는 60가지 제도의 개선을 건의했다. 건의 사항에는 ▶기업대출금 회수자제 ▶섬유업계의 소득세.법인세 납기연장^지자체 발주공사의 지역제한 입찰규모를 50억원에서 1백억원으로 상향조정 ▶벤처기업 자금지원용 투자조합 (Fund) 설립 등이 포함돼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

- 특위 활동의 성과는.

"경제 살리기를 위해 의회가 처음으로 나선 만큼 상당한 성과가 있었다는 생각이다. 특히 기업인들이 맘놓고 할 수 없는 얘기를 털어 놓았기 때문에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했고 깊이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고 본다. "

- 경제 회생의 걸림돌은 무엇인가.

"상당수의 정책이 산업현장에 먹혀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공무원의 늑장행정도 큰 문제로 지적됐다. "

- 대구 경제계의 문제점은. "기업가들의 의식이 문제다. 공동체 의식 보다는 '나만 살겠다' 는 식의 경영이 모두의 발목을 잡고 있다. "

- 건의 내용의 시행은. "새로 구성되는 의회에서 이행여부를 확인하고 감시할 것으로 본다. "

대구 = 홍권삼 기자

〈hongg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