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삼성반도체 황창규 소장…256MD램 첫 상업생산 성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반도체 개발에도 원가 개념을 접목할 때가 왔습니다.무한정 돈을 쏟아 부으며 개발만 하던 시대는 지났어요. 적은 돈을 들여 얼마나 빠르게 개발하고 생산성을 높이느냐가 반도체사업의 승부를 가르게 된 것이지요. " 94년 2백56메가D램 반도체 시제품을 개발한데 이어 지난달말 첫 상업생산을 이뤄낸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황창규 (黃昌圭.45) 소장은 "2백56메가D램 반도체를 기존 생산라인에서 만들 수 있는 양산기술을 개발한 것이 가장 큰 특징" 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새 반도체를 생산하는데는 설비투자가 통상 2조원가량 들어간다" 며 "국제통화기금 (IMF) 시대를 맞아 기업들이 투자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비를 절감하고 반도체산업 재도약의 계기를 만든 것이 보람" 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1세기 반도체' 로 불리던 2백56메가D램을 다른 외국 경쟁업체보다 1년여 앞당겨 조기에 생산함으로써 컴팩 등 메이저 외국 컴퓨터업체로부터의 반응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黃소장은 이와 관련, "최근 들어 컴퓨터업체들이 신종 시스템을 잇따라 개발하면서 정보처리속도가 빠른 반도체의 개발을 요구하는 추세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며 "이번 2백56메가D램 생산은 그들의 요구보다 한발 앞서 이뤄낸 것" 이라고 강조했다.

黃소장은 특히 "지난해말 이미 메이저 컴퓨터업체들에 칩 사이즈가 다소 큰 2백56메가D램을 샘플 출하해 좋은 반응을 얻었기 때문에 64메가D램 크기 (가로 1㎝×세로 2㎝) 와 똑같은 이 제품의 시장성에 대해선 확신한다" 고 말했다.

이에 따라 그는 대만 등 경쟁국 업체들과의 기술격차를 더 벌려놓으면서 2000년대에도 국내 반도체 업체들이 국제 메모리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黃소장은 또 "이번 생산을 계기로 2년여 뒤에는 삼성전자가 세계 메모리반도체 업체중 매출수위 고수는 물론 비메모리를 포함한 전체 반도체 매출에서도 인텔.일본전기 (NEC) 와 함께 '반도체 빅3' 안에 진입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96년에 개발한 1기가D램은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를 접목한 복합칩 형태로 제품화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삼성은 메모리 기술에서 한걸음 앞서 있는데다 이미 알파칩 등과 같은 비메모리 반도체 기술도 상당히 축적하고 있으므로 이 제품의 상용화도 머지 않았다고 말했다.

89년 입사한 黃소장은 삼성전자 안에서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진대제 (陳大濟) 시스템LSI 대표이사 부사장과 함께 반도체 분야의 핵심두뇌로 꼽힌다. 미국 스탠퍼드대 책임연구원과 미국반도체학회 (VLSI) 의 심사위원을 지냈으며 96년엔 1기가D램의 시제품을 개발하기도 했다.

기흥 = 고윤희 기자〈yunh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