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 신도시 뒤숭숭…업체들, 계약포기 늘까 걱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분당 등 수도권 5대 신도시에 이어 신도시로서는 15년 만에 이달 초 아파트가 분양된 경기도 화성 동탄 신도시가 뒤숭숭하다. 시범단지의 경우 당첨자 발표 후 불법 아파트분양권 전매가 고개를 들고 있으며, 계약을 앞둔 업체들은 원가연동제 시행 방침 발표로 계약률이 떨어질까 초긴장 상태다.

지난 13일 당첨자를 발표한 동탄 시범단지의 경우 떴다방(이동식 중개업자) 등이 현장 주변에서 분양권 전매를 부추기고 있다. 화성은 투기과열지구여서 소유권 이전등기 전까지는 전매가 금지돼 있다. 그런데도 삼성.포스코.월드 등 청약률이 높았던 단지를 중심으로 웃돈이 1000만~3000만원 붙어 불법 전매가 이뤄질 조짐이다. 모델하우스 주변 떴다방들은 "원하는 평형과 가격대를 알려주면 물건을 구해주겠다. 전매 처리는 알아서 해줄 테니 걱정하지 말라"며 손님을 꾀고 있다.

수법은 미등기 공증계약. 당첨자 A가 B에게 분양권을 팔고, 매매계약서를 만든 뒤 안전장치로 공증을 받아두는 방식이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분양계약서는 A명의로 쓰고 B는 입주할 때 명의를 넘겨받기 때문에 적발하기 쉽지 않다"며 "용인 동백지구에서도 이런 사례가 꽤 있었다"고 귀띔했다. 분양회사 관계자는 "불법 전매인 데다 분양가 부담 때문에 실제 거래는 많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업체들은 계약(19~21일)을 앞두고 좌불안석이다. 청약 1순위에서 159가구가 미달할 정도로 당초 예상보다 청약률이 낮았던 데다 원가연동제 발표로 비로열층 당첨자 등의 계약 포기가 늘 것을 걱정해서다. 내년부터 원가연동제가 도입되면 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경우 이번 분양분보다 분양가가 내려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화건설 봉희룡 상무는 "예비당첨자.사전예약자들을 대상으로 계약률을 높이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9~10월로 예정된 동탄 신도시 1차 분양(6477가구)도 벌써 우려하는 분위기다. 내외주건 김신조 사장은 "내년부터 원가연동제가 시행된다는 것 때문에 청약을 미루는 수요자들이 늘 수도 있다는 우려가 업계에 팽배해 있다"고 전했다.

성종수.서미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