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 야당 지지하다 구타로 숨진 상병 '민주화 운동' 인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14일 1987년 제13대 대통령선거 부재자 투표 과정에서 고참에게 구타당해 숨진 정연관(당시 20세)상병의 죽음을 의문사로 인정했다.

의문사위에 따르면 87년 12월 4일 정 상병의 내무반에서 야당 후보의 지지표가 세표 나오자 내무반 고참병이 야당표를 찍은 사병을 찾아내기 위해 10명을 집단구타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 상병이 숨졌다는 것이다.

2002년 9월 1기 의문사위는 "정 상병이 공권력의 피해자로서 인정되지만 민주화운동을 했다고 볼 수는 없다"는 이유로 의문사로 인정하지 않았다.

당시 의문사위는 투표 전 군 간부들이 정신교육과 개별면담을 통해 여당을 찍도록 교육한 것과 투표용지를 기호 1번이 위로 올라오게 접도록 지시하는 등 부정선거가 있었음을 밝혀냈다.

그러나 2기 의문사위는 지난해 이 사건을 재조사해 "정 상병이 평소 정부를 지속적으로 비판했고, 야당후보를 지지하는 의사표시를 했다"는 참고인들의 진술을 받아냈다.

이에 따라 의문사위는 정 상병이 권위주의적 통치로부터 참정권 등 기본권을 수호하는 데 기여했다는 이유로 민주화운동으로 결정했다.

임미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