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 연평해전 영웅 돌아오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16호 01면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이어 서해 북방 어장에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29일 연평도 앞바다의 해상전진기지를 떠난 우리 해군 고속단정이 연평도를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치러진 29일 오후 9시10분. 파도 하나 없는 바다에 칠흑 같은 어둠과 정적이 깔렸다. 한 시간 반 전 참수리급 고속정 338호와 352호를 이끌고 해상작전에서 돌아온 연제영 소령의 표정이 갑자기 굳어졌다. NLL 북쪽으로 북한 경비정과 중국 어선들이 내려오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때문이다. 연 소령은 전날 밤도 꼬박 새웠다. 오전 1시 중국 어선 50여 척이 NLL을 5㎞나 넘어 내려오는 바람에 동틀 무렵까지 힘겨운 퇴거작전을 벌여야 했다. 이날 밤은 최근 남북 관계로 긴장감이 커진 탓에 해군이 직접 나서야 했다. 자칫 중국 측과 외교 문제로 비화할 것을 우려해 경고사격조차 할 수 없는 작전은 더욱 힘들었다.

10년 전의 승전, 그리고 후배가 전사한 바다로

연 소령에게 올해는 어느 해보다 의미 깊은 한 해다. 고속정장(대위) 시절 참수리 357호를 이끌고 북한 해군과 목숨 건 전투를 벌인 끝에 승리를 거둔 지 만 10년이 됐다. 다행히도 그는 총탄이 빗발치는 현장에서도 부상을 입지 않았다. 10년 전 그 해상 전투의 현장이 무섭지 않았을까.

연 소령은 “함교에서 보니 갑자기 포성소리와 함께 불빛이 번쩍였습니다. 대응 사격을 시작했죠. 그땐 겁보다는 흥분을 했어요. 아마 아드레날린이 마구 뿜어져 나오는 순간이었을 겁니다”고 말했다.

참수리 357호는 3년 뒤 제2연평해전에 다시 참전했다가 교전 중 침몰했다. 당시 357호를 이끌며 싸우다 적탄에 목숨을 잃은 사람이 바로 윤영하(당시 대위) 소령이다. 윤 소령은 그의 후임자였다.

연 소령은 그날을 기억했다. “고등군사반 교육을 받고 대전에서 진해로 내려가던 고속도로에서 ‘윤 대위가 교전 중 숨지고, 357이 침몰했다’는 전화를 받았어요. 순간적으로 진공상태에 빠진 것처럼 멍해졌습니다. 당장 차를 돌려 연평바다를 지키는 2함대로 가고 싶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