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 재단, 부도 자구책으로 천안병원 판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대학 사상 첫 부도사태를 맞은 학교법인 단국대학 재단이 빚을 갚기 위해 충남천안의 대학병원 (단국대 천안병원) 등 3천억원대의 부동산을 긴급 매각키로 했다.

재단측은 이를 위해 매각이 가능한 부동산 20건 (토지 36만여평.건물 3만6천여평) 의 목록을 최근 교육부에 제출했다.

이들 부동산의 전체 공시지가는 3천1백억여원이나 재단측은 실제 매매가격이 3천8백억여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단측은 그러나 하루빨리 빚을 청산하기 위해 8백병상 규모의 대학병원.경기도용인 신캠퍼스 부지 일부 (10만평) 등 경제적 가치가 높아 팔릴 가능성이 크고 제값을 받을 수 있는 부동산 8건을 우선 매각대상으로 정했다.

재단측은 이들 부동산 8건을 모두 팔면 빚 2천3백21억원을 충분히 갚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대학병원을 의료법인화해 공동운영하는 방안을 캐나다의 한 대형병원과 협의해온 단국대 재단은 국제통화기금 (IMF) 시대를 맞아 대학병원을 인수할 만한 재력을 가진 국내병원.대학이 없다는 판단 아래 캐나다 등 외국병원에 넘기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이럴 경우 재단측은 지분의 70~90%를 외국병원측에 팔고 단국대가 들어간 병원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는 등 유리한 매각조건을 얻어낼 수 있으리라는 계산도 하고 있다.

5년간의 공사 끝에 지난 94년 개원한 단국대 천안병원은 국내 최고수준의 시설을 갖췄으나 환자가 적어 줄곧 적자상태였다.

단국대 재단은 그러나 의과대는 그대로 유지할 계획이며 충남천안의 치과병원도 매각하지 않기로 했다.

또 경기도용인 신캠퍼스 부지 33만여평중 용도가 지정되지 않은 10만평도 매각대상에 포함시켰으나 나머지 23만여평에는 예정대로 학교시설을 건립키로 했다.

우선 매각대상에 들어간 천안캠퍼스내 호수 주변 부지 2만평은 당초 단국대가 기업들과 함께 테크노파크 (산학 복합시설) 를 세우려던 곳이었다.

단국대는 테크노파크 설립 허가도 교육부에 반납할 계획이다.

경기도군포시당정동의 3천여평 (대지) 일부에는 주택.공장 등이 세워져 있어 그동안 임대사업을 해왔다.

재단측은 교육부에 제출한 매각가능 부동산 20건중엔 천안캠퍼스 부지 등도 포함돼 있으나 우선 매각대상 8건을 제외한 12건 부동산의 경우 매매가격이 높지 않은데다 교육시설도 많아 가능한 한 매각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천안캠퍼스 등 학교시설중 여유시설은 수익용 기본재산으로 전환해 팔 수는 있다" 며 "단국대에 대한 감사가 끝나 채무상태가 정확히 나온 후에 단국대가 요청한 부동산 (수익용 기본재산) 의 매각허용 여부를 결정하겠다" 고 밝혔다.

오대영·정제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