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총리' 결전 초읽기…야권, 백지투표·본회의 불참등 전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은 'JP총리 임명동의 거부' 당론 관철을 다짐하고 있다.

이를 위한 한나라당의 구체적 투표지침은 25일 본회의 직전 의원총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상황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함이다.

지침결정을 위임받은 원내총무단은 휴일에도 머리를 맞대고 묘안 짜기에 부심했다.

'이탈 가능성 의원' 동정도 체크했다.

특히 지난주부터 여당 중진과 접촉한 20여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J의원의 경우는 김영배 (金令培) 국회부의장과 만난 이후 말이 달라지고 있다는 등 내용은 다양하다.

한나라당의 선택에는 총리임명동의 당일 출석의원 수가 우선의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첫번째 시나리오는 본회의장엔 들어가지만 '백지투표' 나 '투표 보이콧' 으로 부결시키는 방법. 그러나 여기에도 위험은 도사리고 있다.

만약 한나라당 (총 1백61명) 출석의원 수가 국민회의 (78명).자민련 (43명) 전원 및 여권에 동조의사를 밝힌 국민신당 (8명).무소속 (4명) 을 합친 1백33명에 못미치면 총리임명동의안은 통과된다.

그래서 당일 의원총회에서 인원을 점검해 1백32명 이하가 참석했을 때를 대비해 마련된 두번째 안이 본회의 불참이다.

이 경우 국회법이 '재적의원 과반수' 로 규정하고 있는 의결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총리인준안은 상정되지도 못한다.

그러나 만약 1백33명 이상이 의원총회에 참석한다면 다시 첫번째 시나리오대로 본회의장에 들어가 백지투표 또는 투표 보이콧을 한다는 작전이다.

여당측이 기대하고 있는 자유투표는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작정이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본회의에 들어갔을 때 일부 의원이 당 방침을 거슬러 투표에 참가하려 들면 육탄저지도 마다하지 않는다는 극단처방까지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갖가지 수단을 총동원해 저지에 나서려는 것은 이미 金당선자까지 직접 나선 여당측의 대야 설득 공세에 당소속 의원 상당수가 동요하고 있다는 것을 당 지도부가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지도부가 이처럼 강경해진데는 최근의 정국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검찰의 이회창 (李會昌) 명예총재에 대한 수사압력이나 한나라당 소속의원들에 대한 이런저런 압박 등이 당내에서 다른 소리를 못나오게 하고 있다.

그래서 반대 성사에 대한 중압감은 더욱 가중되고 있고 목소리도 거칠어지는 중이다.

다만 비판여론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는 것은 사실이다.

소속의원의 이탈을 적절히 막아내면서 'JP총리 반대' 를 한나라당이 어떻게 관철시킬 수 있을지는 당일 (25일) 의 상황을 지켜봐야 알 것 같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