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이공계] 4. 독일선 기업이 학생 지원 앞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기술 강국인 독일도 1990년대 초 우리나라와 같은 '이공계 위기론'이 나왔다.

그러나 독일 대기업들은 '우리가 해결하자'며 이공계 지원에 적극 나섰다. 국내 대기업들이 정부.학교.학생 탓만 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독일 최대 기업인 지멘스의 경우 '유스앤드놀리지'라는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90년대 중반부터 운영했다.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면서 무료 교육하는 전문 프로그램이다. 기계.전기.통신 등 25개 전공 분야를 교육한다. 연간 예산은 2500만~5000만유로(약 350억~700억원). 독일 학생뿐 아니라 유럽연합(EU) 국가 학생도 참여가 가능하다. 그런데 교육생들은 지멘스에 입사할 의무는 없다.

지멘스의 한스 푈러 인사 담당 부사장은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육성하는 게 결과적으로 우리 회사에 도움이 된다는 취지로 이공계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의 자동차 회사인 BMW도 대학교와 연계해 다양한 이공계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TPP(Trainee Promotion Program)가 대표적이다. 이 프로그램은 고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1년6개월간 BMW에서 실무교육을 하는 것으로 짜여 있다. 프로그램 이수자는 BMW와 협약한 대학에서 이론 교육을 마치면 이공계 학위를 받는다. 이 밖에 대학생을 선발해 BMW의 실무현장에서 프로젝트 경력을 쌓을 수 있는 '드라이브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BMW의 언스트 바우만 인사 담당 사장은 "혁신적인 기업이 되기 위해 기술 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고 이공계 인력을 적극 키우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뮌헨=강병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