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당선자 인선원칙 발표…첫 組閣 '여론청문회 안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측은 17일 조각 (組閣) 과 관련한 절차와 시기를 제시했다.

우선 23일 국무총리.감사원장내정자를 지명하고 26일 첫 내각의 장관들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김중권 (金重權) 비서실장내정자는 우선 청와대 수석들처럼 복수의 내정자를 사전에 발표해 공개검증을 받지 않을 것임을 명백히 했다.

물론 金당선자의 의중을 대신한 것이다.

이는 비서실 인사와 달리 복수 내정자중 탈락자에 대한 배려수단이 미비한 점, 탈락자는 물론 탈락자를 후원하는 집단의 숱한 이의제기를 잠재울 수단이 없는 점 등을 감안한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언론에 하마평이 오르내리는 사람은 모두 검토대상" 이라고 밝혀 비공식 간접검증을 택했음을 읽게 했다.

이는 언론이 '정답' 을 맞히지 못할 경우 슬쩍 흘려주는 방식으로 정답을 유도하고, 혹시 이 내정자의 새로운 문제점이 언론을 통해 드러나면 '원안 (原案)' 을 바꾸겠다는 뜻이다.

어떻게든 탈없이 무난히 넘어갈 수만 있다면 방법은 얼마든지 신축적으로 하겠다는 생각이기도 하다.

또 장관 내정자를 미리 발표할 경우 야당이 이중 일부 인사를 문제삼고 나설 가능성이 농후하고, 그렇게 되면 김종필 (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에 대한 국회의 총리 임명동의안이 꼬일까 우려하는 심정도 읽힌다.

실제 인선내용은 어떨까. 우선 큰 그림은 18일 DJT (金大中 - 金鍾泌 - 朴泰俊) 회동에서 그려질 것 같다.

장관수 배분과 관련해선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각각 당적자중 4명씩을 내고 나머지 9명은 외부에서 영입하기로 대체적 합의를 본 바 있다.

외부인사 9명은 현직 관료 및 재계.노동.시민단체 등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양당이 협의, 입각시킨다는 것이다.

외부영입에 많은 배려를 한 이유는 나눠먹기식이라는 세간의 비판을 차단키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金실장내정자는 이와 관련, "거국내각은 전혀 검토한 바 없다" 면서도 "金당선자가 이북5도민 신년하례회에서 '과거와 관계없이 지금부터 나를 지지해달라' 고 요청한 것은 당선자의 통치철학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다" 며 과거의 행적과 관계없이 인선할 방침임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그는 특히 "관료.정치인.기술자 위주의 장관 인선에서 벗어나 인력충원방식을 개선할 구상이 있느냐" 는 질문에 "기업종사자와 경영마인드를 갖고 성공한 분들도 고려대상" 이라고 밝혀 각계 화합형 내각을 구성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金실장내정자는 또 "언론이 잘 알려진 정치권인사들만 거론한다" 며 "언론이 가려져 있지만 능력있는 인사를 발굴하는 것도 필요하다" 고 해 적지 않은 신진 인사의 영입이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같은 발언을 놓고 보면 金당선자의 조각구성원칙은 과거행적을 불문한 능력과 지역안배, 사회적 통합 등이 큰 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金당선자측은 이러한 원칙에 따라 기존의 존안자료들을 검토, 압축된 인사들을 놓고 당내는 물론 야당.사회 각계 인사들과 접촉을 시도해 여론을 골고루 수렴한 뒤 최종 낙점을 할 것 같다.

가장 앞서 발표되는 감사원장에는 조승형 (趙昇衡).신창언 (申昌彦) 헌재재판관, 이세중 (李世中) 전대한변협회장, 한승헌 (韓勝憲) 변호사 등이 여전히 유력한 후보다.

일단 취임이후로 인선이 미뤄진 안기부장엔 제3의 인물이 기용될 가능성도 작지 않다.

신성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