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실은 노사정위 여야 상설화 갈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노사정 (勞使政) 위원회의 상설화 방침을 둘러싼 여야의 이견이 표면화하고 있다.

여권은 야대 (野大) 국회를 우회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속셈이고, 야권은 국회무력화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 등의 발언을 종합해보면 노사정위는 앞으로도 주요 국정현안에 대한 논의를 계속할 게 분명하다.

노사정위는 金당선자의 지시에 따라 노사정위의 지속적 활동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2차과제로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기업경영투명성 확보, 민주적 노사관계수립 등을 정해놓은 상태다.

金당선자가 왜 노사정위에 체중을 싣는지는 노사정위의 1차활동결과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노사정위는 '노조의 정치활동 허용' '공무원 직장협의회 설치' '전교조 합법화' '구속노동자 석방 및 사면건의' '부패방지법 및 자금세탁방지법 제정' 등 굵직한 국정현안에 대한 합의를 일거에 도출해냈다.

하나 하나가 정치적으로 민감하고 당사자들의 이해가 첨예하게 대치하는 문제들이다.

아마 金당선자가 이들 쟁점에 대한 국회 차원의 합의를 이끌어내려고 했으면 사안별로 격렬하고도 지루한 논쟁이 불가피했을 게 분명하다.

金당선자로서는 노사정위가 매우 효율적이라고 판단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연일 노사정위 상설화에 반대하고 있다.

"노사정위가 권부 (權府) 중의 권부로 자리잡으면 정치 후퇴가 초래된다" (張光根부대변인) 는 성명도 냈다.

김영일 (金榮馹) 사무부총장은 "대통령직속인 노사정위가 국회보다 상위기관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 고 주장한다.

"설령 법제화를 해도 권한의 한계를 분명히 해야한다" (李相得총무) 는 의견도 있다.

한나라당은 자신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유일한 활동공간이기도 한 국회가 노사정위에서 '국민적 합의' 라며 '통고' 한 내용들을 법제화하는 보조기관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문제는 한나라당의 명분이 마땅치 않다는 데 있다.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경제난 타개를 논의하는데 자신들만 반대하는 모양으로 비춰지는 것도 부담이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보수계층의 지원이 필요한데 노사정위의 1차합의후 나타난 여론의 반응은 우리에게 별다른 힘이 못되고 있다" 며 고민을 토로하고 있다.

김교준.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