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채 수입 '0',승용차는 95% 급감…외제 사치 소비재 발 붙일 곳 잃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제통화기금 (IMF) 한파 속에 사치성 소비재가 된서리를 맞고 있다.

지난해 한달 평균 8백만달러 정도 들어오던 골프채 수입은 올들어 수입이 완전히 끊겼고 승용차도 20분의1 수준으로 급감했다.

원액을 수입에 의존하는 위스키의 올 1월 국내 판매량은 지난해 12월의 4분의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IMF체제 아래서 건전 소비풍토가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환율 급등으로 가격경쟁력마저 상실하면서 고급 소비재들이 설 땅을 잃고 있는 것이다.

9일 관세청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중 소비재 수입은 6억9천8백만달러. 지난해 같은달보다 48.3%나 줄어든 것이다.

이에 따라 소비재 수입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지난해 11%에서 한자릿수인 9%로 떨어졌다.

품목별 지난해 1월과 올 1월 수입을 비교하면 골프채의 경우 지난해 1월 7백만달러에서 올 1월에는 '0' 을 기록했다.

골프채 수입이 '0' 을 기록한 것은 96년 7월 수입자유화 이후 처음이다.

또 승용차는 지난해 1월 4천3백만달러였던 것이 올 1월 고작 2백만달러로 95.5%나 줄었고 모피 등 의류품도 1억2천만달러에서 4천만달러로 65.8% 감소했다.

주류와 담배는 5천7백만달러에서 2천만달러로 64.9%, 냉장고.TV 등 가전제품은 1억1천3백만달러에서 5천3백만달러로 52.7% 각각 줄었다.

이밖에 1월중 쇠고기.돼지고기 등 육류 수입은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무려 67.9%가 줄었고 수산물 수입도 57.1%나 감소했다.

또 올 1월중 국내 위스키 판매량은 17만9천상자에 그쳐 지난해 12월 (72만1천상자) 보다 75.2%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관세청 관계자는 "그동안 소비재 수입은 계속적인 수입자유화 조치와 소득수준 향상으로 폭발적 증가세를 보여왔다" 면서 "IMF한파를 감안하더라도 올 1월 소비재 수입 감소폭은 놀라울 정도" 라고 밝혔다.

서울강남구서초동에서 수입가구상을 경영하는 安모씨는 "IMF한파 이후 손님이 자취를 감춘데다 환율 폭등으로 가격조건도 도저히 맞출 수 없다" 며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 라고 말했다.

김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