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부지로 묶인 땅 새 투자지역 떠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서울등 주요 도시내 도시계획상 도로부지로 묶여 있는 땅주변이 부동산 투자자들의 관심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업규모가 작고 홍보도 안돼 그동안 투자자들의 관심권에서 벗어나 있었지만 IMF시대를 맞아 대형개발사업은 위축되는 반면 도시내 민원성 도로개설 사업등은 꾸준히 추진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방자치단체들이 이런 도시계획시설에 대해 5년마다 사업추진계획을 세우도록 돼 있어 그만큼 사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도로사업 가운데는 폭이 15~20m정도의 넓은 도로도 포함돼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런 도로변의 땅을 확보해 둘 경우 투자가치가 높다고 말한다.

도시계획상에 잡혀 있는 도로개설 예정지는 대부분 일반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땅값이 싼 반면 일단 도로가 개설되면 도로변의 경우 상가등을 지을 수 있게 돼 땅값이 오를 수밖에 없다는 것. 사업계획이 수립된지 20년이상된 장기 미집행 시설은 앞으로 해제될 소지가 많아 이런 지역은 도로변보다 도로부지로 묶인 땅을 사두면 좋다.

왜냐하면 도로계획부지에서 풀리면 건축등을 통해 사유재산권 행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20년이상 사업이 방치돼 있는 지역은 그만큼 사업성이 없고 불필요하게 묶어만 둔 경우도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역 자체가 낙후돼 사업이 추진된다 해도 일반지역보다 투자성이 떨어진다.

그렇다면 도로부지로 묶인 땅을 어떻게 찾나. 서울의 경우 각 구청 (도시개발과) 별로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세부적인 도면등이 마련돼 있어 이것을 참조하면 된다.

신년초에 각 지자체별로 발표되는 사업추진계획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물론 투자하기 전에 현장조사와 관련 기관의 사업추진 계획을 철저히 알아보는 일을 잊어서는 안된다.

최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