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가 '환난극복' 새 변수…총 60억달러 물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뉴욕 외채협상의 성공적인 타결 이후 인도네시아가 우리나라 외환위기 극복의 새로운 복병으로 등장했다.

1일 산업은행이 내놓은 '인도네시아의 모라토리엄 (대외 지불유예) 가능성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모라토리엄이 선언될 경우 우리나라 금융계 및 기업의 자금회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감소로 인해 우리나라의 외환위기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보고서는 국내은행과 종금사가 인도네시아에 투자한 자금은 지난해 3월말 현재 모두 49억6천만달러며 국내 기업이 인도네시아에 투자한 실적은 지난 96년말 현재 10억6천6백만달러에 달하는 등 총투자규모는 60억달러를 웃돈다고 밝혔다.

따라서 모라토리엄이 선언되면 대출 및 투자에 대한 원리금 회수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돼 국내 금융기관의 투자자산은 감독건전성 분류상 회수의문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를 전액 대손충당금으로 처리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국내 금융기관의 기업대출이 위축되는 등 자금시장 경색이 초래될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문제는 인도네시아의 모라토리엄 가능성인데 세계적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사는 최근 인도네시아가 6백50억~7백50억달러의 민간부문 외채에 대해 모라토리엄을 선언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와 관련 방콕 포스트지는 무디스가 "인도네시아 정부가 민간부문 외채에 대해 모라토리엄을 강요할 위험성이 계속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일부 회사들은 이미 지불을 중단했고 다른 회사들은 달러 대신 자국 통화인 루피아화로의 청산을 제의했다" 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1일 보도했다.

박장희 기자

박장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