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당선자,요직 인선 잡음일자 중단…정부개편안 미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의 인선작업이 최근 들어 일시 중단상태다.

金당선자는 이번주 인사와 관련한 잡음이 나돌자 당분간 언급을 말라는 뜻을 비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난해말부터 김중권 (金重權) 비서실장.박지원 (朴智元) 대변인.유종근 (柳鍾根) 경제고문을 속속 임명해오던 흐름에 비추면 다소 의외다.

앞서의 3인은 본인들의 신중한 자세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대통령비서실장과 청와대대변인.경제수석 등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3인에 이어 적어도 청와대비서실만큼은 곧 후속인사가 나올 것이란 예측이 빗나가고 있는 셈이다.

다만 일산 자택과 삼청동 인수위.여의도를 거의 매일 오가고 많은 사람을 만나야 하는 등 당선자의 행동반경이 크다는 이유 때문에 경호실장은 조기 내정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예비역 장성 및 전직 경호실 간부 등 4~5명으로 압축됐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총리 이하 각급 장관과 청와대 수석직.감사원장.한은총재 등의 인선이 한결같이 주춤하고 있다.

실제 金당선자는 측근 등을 개별면담하면서 본인들의 의향을 타진했는데 전혀 다른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배경으로는 우선 야당이 김종필 (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의 총리인준 절차를 정국 돌파의 기회로 활용하려 하고, 정부조직개편안도 아직 성안 (成案) 되지 않은 점을 꼽을 수 있다.

두가지 모두 여소야대 (與小野大) 정국에서 야당의 이해를 구해야 하는 일이다.

야당과 여론의 동의를 구해가며 '뒤탈없는 인사' 를 하려는 계획은 인사청문회에 대한 입장정리에서도 나타난다.

논란을 빚었던 인사청문회 도입시기는 '조각 (組閣) 때부터 실시' 쪽으로 방향이 잡히고 있다.

金당선자 진영은 처음부터 장관급 이상을 대상으로 비공개 인사청문회를 실시하는 방안을 갖고 있었으나 헌법 해석상의 문제와 야당의 공세 등을 지적하는 현실론이 대두되며 주춤했다.

한 측근은 이 문제에 대한 당선자의 최근 심중을 "부작용 때문에 장 못담그면 안된다" 고 표현했다.

즉 청문회는 하겠다는 얘기다.

청문회 없이 인사를 단행해도 언론과 여론의 검증, 그 과정에서 일부 탈락자의 발생은 필연적이라고 보는 듯하다. 낙마 (落馬) 자가 나오더라도 청문회 과정에서 나오는 게 낫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내각과 청와대비서실에 기용될 인적자원의 배분문제도 있다.

양쪽 인선을 함께 하는 게 편하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런 '공식적' 설명과는 달리 조기 인선에 따른 줄서기 소동을 걱정하기 때문이라는 귀띔도 있다.

아무튼 정부조직개편안과 인사청문회 제도가 가닥을 잡고난 뒤 빠르면 2월초부터 내각과 비서실 등의 인선 뚜껑이 열리기 시작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 전망이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