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격 드러낸 '청와대 군살빼기'…총무·의전수석 폐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청와대 비서실의 감량작업이 구체화하고 있다.

대통령직인수위는 실속 위주의 편제를 짠다는 원칙을 세우고 3일 유재호 (柳在浩) 청와대총무수석을 불러 현재 11개 수석비서관실의 기능과 인원배치 상황을 조목조목 따졌다.

11개 수석실을 절반수준으로 줄인다는 방침은 확고하다.

총무.의전수석은 실 (室) 로 격하, 비서실장 휘하의 국장급이 맡도록 하고 있다.

정책기획수석이 부실장으로 대통령의 정책구상을 뒷받침하고, 정무.경제.행정수석 등으로 수석실을 한정한다는 것. 또 공보수석실에서 대변인 기능만 떼어내 발표를 맡도록 하고 국정홍보는 정무비서실에 포함시킨다는 것. 외교안보수석은 특보로 대치하는 한편 민정수석의 업무는 행정으로 하는 방안과 현행대로 존치시키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인수위는 청와대 본관 (대통령집무실) 과 수석비서관실이 걸어서 15분 거리에 있는 데 따른 '문제점' 을 보완하기로 했다.

즉 본관에 주요 수석비서관들의 방을 두는 방안이다.

인수위의 김정길 (金正吉) 간사는 "각부처와 수석들간의 경쟁으로 대통령의 일정관리에 차질과 혼선이 빚어지는 것으로 안다" 며 대통령의 일정을 부실장급 수석이 전담토록 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라고 전했다.

경호실도 예외가 아니다.

청와대가 국민과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도 군살을 빼야 한다는 설명이다.

다만 경호실의 업무는 군.경찰과의 합동작업에다 대외비 사항이 많아 이에 대한 개편은 뒤로 미룰 생각이다.

인수위는 대통령 가족.친인척의 국정개입을 막기 위한 장치마련에도 부심하고 있다.

이날 보고에서 인수위원들이 김현철 (金賢哲) 씨 국정개입 비리 전말과 청와대내 '현철인맥' 을 캐물은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