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중국과 긴밀협력…아세안 확대정상회담 개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동남아국가연합 (ASEAN) 비공식 확대 정상회담이 9개국 회원국과 한.중.일 등 동북아 3개국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15일 말레이시아 수도 콸라룸푸르에서 개막됐다.

ASEAN 창설 30주년을 맞아 열린 이번 회담에서 각국 정상들은 통화 폭락으로 상징되는 금융위기를 최우선 의제로 상정했다.

특히 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는 금융위기 해소에 있어 기존의 국제통화기금 (IMF)에 대한 일방적인 의존에서 탈피, 중국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ASEAN 9개국과 한.중.일 3개국 지도자들은 회의 첫날인 15일 비공식 회의를 개최해 금융위기 해소방안에 대한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12개국 지도자들은 이날 오전 합동회의를 개최한데 이어 오후부터 16일까지 각국간 개별회담을 통해 아시아지역 통화위기 수습과 ▶중국의 금융지원 및 경제위기 해소를 위한 시장개방 문제 ▶일본의 구제금융 지원방식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ASEAN 국가들이 중국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던 기존의 입장을 바꾼 것은 동남아 경제위기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자금지원과 거대한 시장이 필요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중국측은 이에 대해 천젠 (陳健) 외교부 부장조리 (차관보 급)가 지난주 '동아시아 금융안정을 위한 추가조치' 의 필요성을 인정한데 이어 중국과 ASEAN의 '선린 동반관계와 우호관계' 를 굳힐 것이라고 밝히는 등 이에 적극 화답하고 있다.

장쩌민 (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과 동남아 정상간에 16일 있을 성명에는 양측간 교역확대와 투자.시장개방 등 적극적인 경제협력 확대의 내용이 들어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와 관련, 바다위 말레이시아 외무장관은 "동남아시아의 상황이 악화될 경우 중국에도 영향을 미칠 것" 이라며 ASEAN 정상들이 중국의 역할에 대해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의에 참석한 하시모토 류타로 (橋本龍太郎) 일본총리도 ASEAN 국가와의 개별회담을 통해 역내 금융위기 수습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일본은 민간투자에 의한 사회기반 개발과 경쟁력.생산력 강화 등 금융지원에 대한 일부 조건을 제시하고 있으나 말레이시아 등 일부 ASEAN 국가들은 일본이 조건을 제시하는데 반대하고 있는 상태다.

회의에서는 또 남중국해 난사 (南沙) 군도 문제를 비롯, 메콩강 유역개발 등 역내 현안을 협의하는 한편 말레이시아 마하티르 총리가 제시한 '비전 2020' 을 채택할 예정이다.

한편 각국 지도자들은 이번 회의에서 현행 IMF 금융지원 체제의 구조적 문제점을 거론할 것으로 보여 향후 IMF의 반응이 주목되고 있다.

유광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