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사채 빌리려했다는 사채업자 폭로 선거쟁점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이 연수원을 담보로 사채시장에서 돈을 빌리려 했다는 사채업자 강동호 (姜東豪) 씨의 폭로가 선거쟁점화됐다.

국민회의는 12일 "집권당이 총재인감까지 가지고 지하자금시장인 사채시장을 기웃거린 것 자체가 경제를 망친 한나라당답다" 고 총공세에 나섰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정당재산을 담보로 돈을 빌릴 수 없기에 그와 같은 방법으로 현금을 마련하려 했던 것인데도 姜씨가 엉뚱한 주장을 제기해 당의 명예를 훼손한 데 대해서는 사법적인 대응을 하겠다" 고 반박했다.

국민회의 공세의 초점은 두 갈래였다.

우선 선거일을 1주일 앞두고 5백억원이나 되는 큰 돈을 빌리려 했다는 점에서 이 돈의 용도가 뭐냐고 추궁했다.

정동영 (鄭東泳) 대변인은 "정당 경상비가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하나 이를 믿을 국민은 아무도 없다" 며 "선거 1주일 전에 돈을 마련하려 한 것은 돈 선거를 하기 위한 것" 이라고 비난했다.

행위 자체의 불법성도 문제삼았다.

국민회의는 "한나라당이 사채시장을 이용하려 한 것은 실명제 위반" 이라고 주장했다.

당 지도부는 '부정금권선거음모 긴급대책회의' 를 가진 뒤 한광옥 (韓光玉) 부총재와 이건개 (李健介.자민련) 의원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를 발족했다.

조순 (趙淳) 한나라당총재 등을 검찰에 고발한다는 결정을 내린 뒤 신문광고 등 가능한 홍보수단을 동원해 한나라당의 부도덕성을 공격하기로 했다.

국민신당도 긴급성명에서 "한나라당이 막판에 돈선거를 치르려 하다 마각이 드러났다" 며 '이회창후보 대통령불가론' 을 주장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김태호 (金泰鎬) 사무총장은 "불법선거를 기도하기 위해 자금을 마련하려 했던 것은 아니었다" 며 "당에 유입된 사채는 없다" 고 말하면서도 곤혹스러워 했다.

최병렬 (崔秉烈) 선대위원장은 2백30억원의 당 채무규모를 밝힌 뒤 "모자라는 선거자금과 당 운영에 쓰기 위해 연수원을 담보로 사채시장에서 돈을 빌리려 한 것" 이라며 "결코 매표행위에 쓰려는 의사는 없었다" 고 해명했다.

신성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